‘능게’라는 말의 뜻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취고수는 행진음악을 연주하는 악대로 호적(胡笛) · 나발 · 소라 · 바라 · 징 · 용고(龍鼓) 등 음량이 큰 악기들로 편성된다. 「대취타(大吹打)」 · 「취타굿거리」 · 「취타염불」 · 「능게취타」와 같은 곡을 연주한다.
「능게취타」는 취고수들이 행진음악으로 연주할 뿐만 아니라, 경기 지방의 농악과 「양주별산대놀이」 · 「봉산탈춤」과 같은 경기도 · 황해도 가면극의 길놀이에서 호적수(胡笛手)가 흔히 연주하는데 ‘능게가락’이라 한다.
장단은 3분박 좀 느린 4박자(8분의 12박자)인 굿거리장단을 친다. 선율의 구성음은 ‘솔 · 라 · 도 · 레 · 미’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치는 경토리(京調)이다.
선율은 경기민요인 「창부타령」과 비슷하나, 약간 즉흥적이어서 비고정 선율이 많으며 소박하고 흥겨운 가락이다. 문화재보호협회(현, 국가유산진흥원)에서 나온『한국전통음악』음반과 국립국악원에서 나온 『국악선집』음반에 녹음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