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때부터 이두향명으로 ‘호의뇨(狐矣尿)’라고 표기되었는데, 뒤에 ‘여의오줌’·‘여호오줌’이라고 하다가 지금은 담배풀이라고 부른다. 학명은 Carpesium abrotanoides L.이다.
높이는 50∼100㎝이며 뿌리는 방추형이고 목질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며, 밑부분의 것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에 끝이 뭉툭하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두상화(頭狀花)는 엽액에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3.5㎜로서 선점과 길이 0.7㎜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관모가 없고 끈끈하다. 줄기는 높이 50~100㎝이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밀생한다.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 살며 황해도 이남에서 산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지상부를 약으로 쓴다.
주된 약효는 거담·해열·파혈·지혈작용이 있어서 급성간염에 복용하면 간 기능이 회복되고, 어린이의 급만성 경풍에 해열·진경의 효능이 있다. 피부의 가려움증과 신경통에도 유효하고 요충·조충을 제거하는 데도 사용하며, 코피가 그치지 않을 때 지혈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밖에도 만성 하지궤양과 신장염에도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