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풀

목차
관련 정보
담배풀
담배풀
식물
생물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이칭
이칭
호의뇨(狐矣尿), 여의오줌, 여호오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내용

고려 때부터 이두향명으로 ‘호의뇨(狐矣尿)’라고 표기되었는데, 뒤에 ‘여의오줌’·‘여호오줌’이라고 하다가 지금은 담배풀이라고 부른다. 학명은 Carpesium abrotanoides L.이다.

높이는 50∼100㎝이며 뿌리는 방추형이고 목질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며, 밑부분의 것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에 끝이 뭉툭하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두상화(頭狀花)는 엽액에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3.5㎜로서 선점과 길이 0.7㎜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관모가 없고 끈끈하다. 줄기는 높이 50~100㎝이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밀생한다.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 살며 황해도 이남에서 산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지상부를 약으로 쓴다.

주된 약효는 거담·해열·파혈·지혈작용이 있어서 급성간염에 복용하면 간 기능이 회복되고, 어린이의 급만성 경풍에 해열·진경의 효능이 있다. 피부의 가려움증과 신경통에도 유효하고 요충·조충을 제거하는 데도 사용하며, 코피가 그치지 않을 때 지혈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밖에도 만성 하지궤양과 신장염에도 활용된다.

참고문헌

『향약채취월령』(안덕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한약임상응용』(이상인·안덕균·신민교, 성보사, 1982)
『한국식물도감』(정태현, 신지사, 1960)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