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에서 널리 쓰이는 장단으로서 경기도 · 충청도 ·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덩덕궁이’, 전라남도에서는 ‘떵떵이덜궁’, 경상도에서는 ‘정적궁이’ · ‘정자꿍이’ 또는 ‘무정작궁이’, 함경도에서는 ‘정적기’라고 부른다.
덩덕궁이라는 말은 장구의 구음에서 나온 것이다. 3소박 넷이 모인 장단으로 서양식 표기에 의하면 8분의 12박자가 된다. 보통 조금 빠른 자진모리장단을 가리키나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 · 전라도의 무가에서 덩덕궁이는 늦은자진모리장단이며 선율은 육자배기토리이다.
또한, 경기도 남부 무무(巫舞)에서 덩덕궁이는 늦은자진모리장단이며 삼현육각으로는 「자진굿거리」를 연주한다. 충청도와 전라도 무무에서의 덩덕궁이도 늦은자진모리장단이며 삼현육각으로는 「자진살풀이」를 연주한다. 이 장단에 의한 음악은 경쾌하고 흥겨운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