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포집 ()

목차
관련 정보
도포집
도포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황정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황정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활자본. 1910년 그의 손자인 재수(在壽)·희수(熙壽)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과 권말에 손자인 재수·진수(璡壽) 등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112수, 서(書) 15편, 서(序) 4편, 기 1편, 발 1편, 잠 3편, 설 2편, 권2는 제문 11편, 묘갈명 3편, 행장 3편, 유사 8편, 권3은 부록으로 만시(挽詩) 18수, 제문 5편, 실록·가장·행장·유사·갈명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즉경(卽景)·만시·차운(次韻)·증별(贈別)의 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거의가 사장학(詞章學)보다는 도학에 치중한 시들이다.

서(書)에는 학문·시사(時事)·위선(爲先)에 관한 것들을 설명해놓았다. 잠에는 안분(安分)·신언(愼言)·치가(治家) 등 3잠을 지어 나름대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처세의 신조로 삼았다.

설의 「성정이기선악분합설(性情理氣善惡分合說)」에서는 이(理)를 성(性)으로, 기(氣)를 체(體)로 삼고 성을 근본으로, 정을 단서로 삼아 사람이 천지에 참여하고 화육을 밝히는 것이 모두 여기에 있음을 역설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