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깐집터

목차
선사문화
유적
바닥을 돌로 깔아 편평하게 만든 선사시대의 집터를 지칭하는 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바닥을 돌로 깔아 편평하게 만든 선사시대의 집터를 지칭하는 용어.
내용

‘부석주거지(敷石住居址)’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화덕자리·기둥구멍 등이 있어야 집터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러한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도 돌깐집터의 범주에 넣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돌깐집터의 대표적인 예는 1936년에 조사, 보고된 평양시 청호리의 돌깐집터를 들 수 있다. 이 집터는 한 변이 6척 정도되는 사각형 범위 안에 화덕자리를 중심으로 편평한 돌이 깔려 있다. 시기는 신석기시대에 해당된다.

강원도 춘천시 북면 내평리에서 1971년소양강 선사유적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굴된 내평리집터는 동서 12.3m, 남북 4m의 범위 안에 돌을 깔았다. 돌이 깔린 면에는 화덕자리가 없고 오히려 돌 아래 맨바닥에서 화덕자리가 나오는 점이 특이하다.

경상남도 진해시 웅천동자마산(子馬山)에서 1949년에 조사된 돌깐집터는 세로 4m, 가로 5m 크기의 사각형 구획 주변을 따라 넓적한 화강암을 평탄하게 깔고, 북쪽 모서리에 따로 길이 3m 정도의 범위로 돌을 깔아 돌출부를 만들었다.

이곳에서는 화덕자리가 발견되지 않았고 바닥 전체에 돌이 깔려 있지는 않지만 구조로 보아 출입시설까지 갖춘 집터로 추정된다. 시기는 원삼국시대로 여겨진다.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 이 3기의 돌깐집터는 움집을 위주로 하는 선사시대에 있어서 극히 예외적인 것이다. 특히, 강원도 춘천시 북면 내평리의 경우는 일반적인 살림집이었다기보다는 특수한 용도에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웅천의 포석주거지」(김원룡, 『고고미술』 1·2, 1960)
「소양강수몰지구유적발굴조사」(한병삼·이호관·조유전·지건길·최몽룡, 『팔당·소양댐수몰지구유적발굴종합조사보고』, 문화재관리국, 1974)
「櫛目紋土器を發見せる北鮮淸湖里遺蹟に就いて」(笠原島丸, 『人類學雜誌』 51·6, 1936)
집필자
임영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