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문헌원우편 ()

동국문헌원우편
동국문헌원우편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고종 연간에 문묘와 각 지역 서원 · 사우를 모아 기록한 유교서. 편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고종 연간에 문묘와 각 지역 서원 · 사우를 모아 기록한 유교서. 편람.
서지적 사항

문묘(文廟)와 각 지역의 서원(書院)과 사우(祠宇)를 모아 기록한 책으로, 1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책의 크기는세로 31.2㎝, 가로 18.8㎝이며,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에 있다. 책의 서문·발문이나 간기(刊記)가 없어 편찬 연대나 경위, 편자 등은 알 수 없다.

내용

제목 『동국문헌원우편(東國文獻院宇篇)』의 의미가 『동국문헌』의 원우편인 것으로 보이나 단정할 수 없다. 다만 1804년(순조 4)에 간행된 『동국문헌』 권4에 문묘·태묘(太廟)와 함께 원우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책에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 등 경기도의 41개소를 비롯하여 충청도 67개소, 전라도 122개소, 경상도 272개소, 평안도 34개소, 황해도 20개소, 강원도 18개소, 함경도 23개소 등의 서원·사우의 명칭과 건립 연대 및 제현(諸賢) 명단이 기록되었다는 점에서연관성이 보인다.

한편 1871년(고종 8)에 흥선대원군이 서원·사우를 일제히 훼철할 때, 도덕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을 제향하는 곳이라 하여 훼철 대상에서 제외시켰던 서원·사우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훼철 직후 존치(存置)된 것에 대한 편람을 위하여 간략하게 편찬된 것이라 생각된다.

맨 앞장에는 계성사(啓聖祠)와 문묘에 제향된 인물 명단이 실려 있고, 그 다음에 개성의 숭양서원을 비롯한 45개의 서원·사우의 명칭, 건립 및 사액연대(賜額年代), 제향 인물 등을 차례로 기록해 놓았다.

규장각 소장본 『용호한록(龍湖閒錄)』의 5책에도 「문묘배향편(文廟配享篇)」‚ 「태묘배향편(太廟配享篇)」‚ 「동국문헌문생편(東國文獻門生篇)」 등과 함께 「동국문헌원우편」이 수록되어 있다. 1909년(순종 3) 이원(李源)이 지은 『동국문헌보유(東國文獻補遺)』에도 관련 조항이 있으므로 이들 간의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성균관, 향교, 서원 등 교육 기관 연구의 기본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