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복은 유라시아 초원 지대를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는 유목민족의 휴대용 취사도구로, 북방식동복 혹은 오르도스식동복이라 불린다. 분포는 서로는 헝가리까지, 동으로는 우리나라까지 분포하고 있다. 헝가리까지의 분포는 흉노의 서쪽 이동과 함께 서방에 전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동복은 중국 베이징〔北京〕 옌칭현〔延慶縣〕의 시보쯔촌〔西撥子村〕 출토품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연대는 서기전 9세기로 보고 있다. 중국에서는 서기전 9세기에 등장하여 서기 6세기까지 계속하여 존재하였다.
동복은 기능적인 면에서 볼 때 넓은 의미에서는 솥에 속하는 것이지만, 형태적으로는 솥과 비교하면 차이가 있다. 동복의 모양은 몸통은 깊은 바리 혹은 둥근형이며, 아가리에는 대칭으로 손잡이가 붙어 있다. 손잡이의 형태는 둥근형, 네모형, 산자 모양, 반환형(半圜形) 등이 있다. 몸통에 굽다리가 붙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이른 시기에는 청동으로 제작되어 동복으로 불리는데, 한대(漢代)가 되면 철제도 나타나 혼용되었다. 또 이 시기에는 굽다리가 없는 것도 등장하며, 산자 모양, 반환형 손잡이도 등장한다. 이러한 것을 흉노복 또는 흉노식동복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 동복은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였는데, 서쪽으로는 헝가리까지, 동쪽으로는 선비의 영역에도 영향을 주었다. 흉노동복은 대체로 산자 모양의 손잡이와 몸통에 둥근 장식이 있고, 선비동복은 반환형 손잡이와 몸통에는 장식이 없다.
고구려유적에서는 길림성 집안현 태왕향묘(吉林省 集安縣 太王鄕墓) 출토품과 길림성 동전자(吉林省 東甸子) 징집품(徵集品), 오녀산성(五女山城) 출토 철제복이 있다. 가야유적에서는 김해 대성동 29호, 47호, 양동리 235호분의 출토품이 있으며, 신라유적에서는 숭실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인 입실리 출토품으로 전하는 1점이 있다.
백제 지역은 청주 신봉동 유적 출토 철제복이 있다. 그리고 평양 정오동 1호묘 출토품과 평양 부근에서 채집한 평양박물관 소장품 1점이 있다. 동복은 소형인 평양 정오동 1호묘 출토품을 제외하면, 대략 높이 13.018.9㎝, 입지름 10.019.3㎝, 바닥지름 7.0~11.1㎝이다.
동복은 형태에서 보면 깊은 바리에서 어깨가 강조되는 것으로 변한다. 따라서 한반도 내에서 출토된 동복은 김해 대성동 29호분이 앞서고, 김해 대성동 47호분, 김해 양동리 235호분, 숭실대학교 소장품, 그리고 가장 뒤의 것이 평양박물관 소장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