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양동리 고분군 ( )

김해 양동리 고분군 전경
김해 양동리 고분군 전경
고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가곡마을 뒷산에 있는 삼국시대 널무덤 · 덧널무덤 · 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김해 양동리 고분군(金海 良洞里 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04년 07월 24일 지정)
소재지
경남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번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가곡마을 뒷산에 있는 삼국시대 널무덤 · 덧널무덤 · 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2004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김해 양동리 고분군은 조만강의 지류인 내삼천과 유하천 사이에 형성된 해발 90m의 구릉에 입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조사한 결과 이곳에서는 목관묘, 목곽묘, 옹관묘, 석곽묘, 석실묘 등 546기의 무덤을 확인하였다. 시기는 대체로 기원전 2세기대로부터 기원후 7세기대에 걸쳐 형성된 무덤군으로 여겨지고 있다.

역사적 변천

김해 양동리고분군은 1980년초까지 김해 양동리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유물들이 학계에 소개되면서 중요 유적으로 주목되었다. 1984년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 의한 조사에서 목관묘와 목곽묘 등 23기를 확인하였고, 1990∼1996년동의대학교박물관에 의하여 546기의 무덤을 확인하였는데, 중심되는 무덤은 목곽묘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유적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2004년 7월 24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2011년에는 국립김해박물관에 의하여 6번째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단각고배를 부장한 석실을 확인하였다.

내용과 특징

와질토기단계의 무덤으로는 양동리 162호묘와 양동리 235호묘가 대표적이다. 목곽묘인 양동리 162호묘는 길이 494㎝, 너비 344㎝, 깊이 123㎝의 토광 안에 길이 388㎝, 너비 280㎝ 되는 목곽을 설치하였는데, 피장자의 네 모서리에는 판상철부를 10매씩 묶어 놓았다. 수정과 유리구슬로 만든 경식, 부채흔적, 거울, 철복 등을 부장하였다. 235호 목곽묘는 길이 760㎝, 너비 390㎝, 깊이 116㎝의 토광 안에 길이 540㎝, 너비 320㎝로 추정되는 목곽을 설치하였는데, 바닥에는 판상철부를 깔고 목곽을 안치하고 시신과 부장품을 안치하였다. 출토 유물은 수정과 유리제 옥으로 만든 경식을 부장하였다. 고식도질토기 단계인 4세기의 무덤으로는 양동리78호 목곽묘가 있다. 길이 495㎝, 너비 210㎝, 깊이 115㎝의 토광에 길이 432㎝, 너비 155㎝, 높이 60㎝의 곽을 안치하였는데, 외절구연고배, 직구대부호, 소형기대를 비롯하여 고사리무늬를 붙인 판갑, 몽고발형 주, 목심등자, 재갈, 유자이기를 부장하였다. 양동리 349호묘는 주부곽식으로 주부곽 모두 목곽을 안치하였고 양동리 304호묘는 주곽은 석곽이며 부곽은 목곽을 사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김해 양동리고분군은 기원전후에서 7세기대까지의 다양한 무덤유구들이 분포하고 있는 점에서 좁은 지역이지만 지역의 변천사를 조명해 볼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출토유물 가운데에서 중국 한 계통의 거울이나 왜계의 동모 등이 부장되고 있는 점에서 당시의 국제교류를 유추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해양동리고분문화Ⅰ』(동의대학교박물관, 2008)
『김해양동리고분문화』(동의대학교박물관, 2000)
『김해양동리고분 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연구소, 1989)
『국은 이양선 수집문화재』(국립경주박물관, 1987)
「김해 양동리 유적 2011년도 발굴성과」(박진일,『제18회 가야사국제학술회의 김해 양동고분군과 고대동아세아』,인제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국립김해박물관, 2012)
「김해지방출토 청동유물」(박경원,『고고미술』제106․107합집, 한국미술사학회, 197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보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