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에서는 ‘살풀이’라고도 하며, 안당거리에 쓰인다 하여 ‘안당장단’이라고도 부른다. 진도(珍島)에서는 ‘흘림장단’, 호남우도 농악에서는 판굿의 오방진(五方陣)에서 쓰인다 하여 ‘오방진가락’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남도의 무의식인 안당·조상굿·제석굿 등의 무가에서 쓰이는데, 선율은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악기는 피리·젓대·해금과 같은 선율악기가 시나위를 반주한다. 노랫말은 한 박에 두 자씩 붙이기도 하고 일자 다음식(一字多音式)으로 붙이기도 한다.
동해안지방 무가에서 중중모리형 장단을 ‘동살풀이’라고 하나 이 말은 잘못 쓰이는 것 같다. 장단은 2소박 4개가 모인 보통빠르기의 장단으로 서양음악의 4분의 4박자로 표기할 수 있다.
장구는 흔히 ‘덩따, 딱딱, 궁딱, 궁궁’ 하고 치며, 징은 ‘징-, 징-, -징, 징-’하고 치고, 꽹과리는 ‘갱개, 갱갱, 응갱, 깽깽’하고 친다. 이 장단은 흥겹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