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석탑 사리함 선각사방불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동화사 석탑 내 사리함 선각사방불
대구 동화사 석탑 내 사리함 선각사방불
조각
유적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불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불상.
내용

각면 크기 세로 14.5㎝, 가로 15.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사리함의 외함(外函)에 새겨진 불상이다. 주조한 불상 원형 위에 얇은 금동판을 대고 연질의 도구로 가볍게 쳐서 제작한 압출불(押出佛)이다.

음각선(陰刻線) 내의 촘촘한 칼자국으로 보아 타출(打出)한 뒤 다시 예리한 칼날로 윤곽선을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蹴彫]. 각 금동판에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각기 독특한 수인(手印)을 맺고 있는 여래좌상과 보살입상이 협시한 삼존불이 표현되어 있다.

세부 형식에 약간의 차이점은 있으나 거의 동일한 양식적 특징을 나타낸다. 본존불은 모두 통견(通肩)의 법의를 걸쳤으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여래상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 놓았다. 얼굴은 통통하게 살이 올라 있고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현이 뚜렷하다.

법의는 왼쪽으로 비껴 내린 중첩된 U자형 옷자락 무늬로 주름져 있으며, 앞자락은 타원형을 그리면서 결가부좌한 하체를 덮고 있다. 손은 각각 지권인(智拳印)·항마촉지인·약기인(藥器印)·합장인(合掌印)의 수인을 맺고 있어 동방 아촉불(阿閦佛), 서방 아미타불, 남방 보생불(寶生佛), 북방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사방불로 추정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예가 없어 도상적(圖像的)인 근거를 밝히기가 곤란하다. 이 가운데 지권인의 비로자나불은 통례에서 벗어나 보관을 쓴 여래형으로 표현되어 있어 주목된다.

대좌는 앙련석(仰蓮石)과 복련석(覆蓮石), 중대석(中臺石)으로 구성된 삼단 대좌로서, 팔각의 중대석에는 동심원과 안상(眼象) 그리고 장식적인 꽃무늬를 표현하였다. 본존을 향하여 몸을 틀어 합장한 모습으로 서 있는 보살상도 세부 형식은 거의 같다. 풍만한 얼굴에 비하여 신체는 섬약하다.

이러한 신체의 특징은 양 팔목에서 몸 좌우로 걸쳐 흘러내리고 끝이 말려 올라간 천의(天衣) 자락으로 인하여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허리의 띠 매듭은 리본형으로 매듭져 양다리 사이에 드리워졌으며, 무릎 위에는 고리형으로 옷주름이 중첩되어 있다. 발밑에는 단판의 연꽃을 배치하여 대좌로 삼았다.

삼존의 머리 위에는 화려한 천개(天蓋)를 따로 표현하여 장엄함을 더하였다. 함께 발견된 납석제 사리호(舍利壺)의 표면에 기록된 명문에 의하면, 이 금동판사방불은 863년(경문왕 3년)에 제작되어 봉안된 것이라 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 』23―금속공예―(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5)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신라민애대왕석탑기」(황수영, 『사학지』 3, 단국대학교, 1969)
집필자
곽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