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배 ()

분청사기 조화 초화문 마상배
분청사기 조화 초화문 마상배
공예
물품
별도의 굽을 만들지 않고 뾰족한 저부(底部)를 가진 팽이 형태의 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별도의 굽을 만들지 않고 뾰족한 저부(底部)를 가진 팽이 형태의 잔.
개설

마상배는 별도의 굽을 만들지 않고 곧게 선 입술로 연결되는 팽이 모양의 잔으로,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잔탁(盞托, 잔 받침대)과 함께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사카와 다쿠미[淺川巧]가 저술한 『조선도자명고(朝鮮陶磁名考)』에는 주배(酒杯, 술잔) 중 굽이 너무 높아 불안정하여 대각(臺脚)을 잡고 사용하기 때문에 마상배라는 속칭(俗稱, 다른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종은 ‘팔(八)’자로 뻗은 높은 다리 위에 잔 모양의 배신(杯身, 몸체)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고족배(高足杯)라고 한다. 즉 1930년대에는 저부가 뾰족한 팽이 형태의 잔과 높은 굽이 달린 잔이 마상배라는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높은 굽에 얕은 잔이 달린 고족배라는 기형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하여[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은 대부분 고배(高杯, 굽다리 접시)라고 부름] 조선시대까지 제작되었고, 이와 관련된 명칭은 중국의 자료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헌자료에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고족배라는 별도의 명칭으로 불러야 할 것이다. 다만, 마상배는 단어의 연원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잔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타탕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원 및 변천

마상배는 각배(角杯, 뿔모양 잔)와 같이 저부(底部, 그릇 아랫부분)가 뾰족한 잔의 형태를 띠고 있어 말 위에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마상배라는 단어의 연원을 찾기 위해 문헌이나 사료, 선학들의 연구물 등을 검토해 본 결과, 논리적 근거와 정확한 어원을 찾기 어려워 마상배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보다는 잔의 일종으로 보는 것이 타탕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 및 형태

마상배는 뾰족하게 만든 저부 위로 사선으로 뻗어 올라가 직립하는 입술로 이어진다. 별도의 굽을 만들지 않은 저부는 외면에서 깎아내어 정리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대부분 고려시대의 청자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으며, 상감기법(象嵌技法: 백토와 자토를 감입하여 문양을 장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외면을 장식하기도 하였으나 아무런 문양을 장식하지 않은 무문 청자도 확인된다.

사용 방법 및 특징

굽이 없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는 기종으로 잔탁과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시대의 잔탁의 경우, 굽 위에 넓은 전만 올린 뒤 ‘⊓’ 형태의 잔좌(盞座: 잔을 올려놓는 받침대)를 만들지 않고 잔 모양의 형태를 만들어 그 중앙을 원통형으로 뚫어 놓은 잔탁이 있다. 이러한 잔탁이 마상배라 불린 저부가 뾰족한 형태의 잔과 함께 세트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잔(盞)

참고문헌

『한국도자사전』(이성주 외, 경인문화사, 2015)
『유적 출토 도자기 바로보기』(강경숙·김세진, 진인진, 2015)
『한국미술전집 9─고려청자』(최순우, 동화출판공사, 1978)
『中國古陶瓷圖典』(《中國古陶瓷圖典》編輯委員會 編, 馮先銘 主編, 北京: 文物出版社, 2002)
『朝鮮陶磁名考』(淺川巧, 朝鮮工藝刊行會, 193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