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족배(高足杯)는 ‘팔(八)’자로 뻗은 높은 다리 위에 완(椀)처럼 생긴 배신(杯身)이 붙은 잔으로, 외형적인 특징 때문에 고각배(高脚杯: 높은 다리가 붙은 잔), 파배(把杯‧靶杯‧把盃‧把桮: 손잡이가 붙은 잔), 마상배(馬上杯: 말 위에서 사용하는 잔) 등으로 불렸다. 그러나 고족(高足)이란 단어가 당대(唐代) 사료에서 확인되고 형태상 높은 다리가 부착된 잔이라는 뜻에서 고족배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
한반도에서 고족배는 삼국시대부터 등장하였다. 이때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제작된 고족배를 학계에서는 보통 고배(高杯)라고 한다. 이 시기의 고족배는 각각의 지역적 특징을 보이며, 점차 다리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고려 후기에 원나라 문화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고족배는 상감청자로 제작되었고 이 전통은 조선시대 분청사기 고족배로 이어져, 상감‧인화‧철화‧귀얄‧덤벙 기법 등을 써서 다양하게 장식되었다. 그와 함께 문양이 없는 백자 고족배가 제작되었고 상감백자 고족배도 일부 확인된다.
삼국시대에 제작된 고족배는 각각의 지역적 특징이 있다. 백제에서는 남조(南朝)와의 밀접한 교류를 통해 고족배가 제작되었지만, 삼족기(三足器: 세 개의 다리가 달린 기물)나 파배 같은 기종에 비해 발달하지 못한 편이다. 가야에서는 4세기경부터 고족배가 등장하는데, 경상남도 함안의 아라가야 지역에서 제작된 불꽃 모양 투창(透窓: 창문과 같이 뚫은 큰 구멍)이 있는 고배가 특징적이다. 신라에서도 4세기경부터 고족배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점차 크기가 커지며, ‘팔(八)’자형으로 뻗은 다리에 투창을 뚫거나 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장식하였다. 그러나 6세기부터는 다리의 길이를 짧게 만든 단각(短脚) 고배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로 계승되었다. 이 시기의 고족배는 토기뿐 아니라 금속기로도 제작되었으며, 대부분 무덤에 부장하기 위한 부장품(副葬品, 껴묻거리)으로 활용되었다.
고족배는 고려 전기와 중기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13세기 후반 원나라의 간섭과 함께 원의 다양한 문화가 전래되면서 고족배가 다시 제작되었다. 고려 후기의 고족배는 높은 다리가 바깥으로 활짝 뻗은 ‘팔(八)’자형에 완만한 곡선을 띠는 잔이 부착된 형태로 대부분 상감청자로 제작되었고, 삼국시대 고배보다 크기가 상당히 작은 편이다.
조선시대로 계승된 고족배는 분청사기와 백자로 제작되었다. 분청사기 고족배는 상감‧인화‧철화‧귀얄‧덤벙 기법 등 다양한 기법으로 만들어졌는데, 기형이 상감청자 고족배와 유사하다. 백자 고족배는 지방가마에서도 일부 확인되지만 대부분 경기도 광주의 관요(官窯)를 중심으로 생산되었으며, 청자‧분청사기 고족배에 비해 다리가 바깥으로 벌어지지 않아 원통형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 준다. 백자 고족배는 대부분 별도의 문양을 장식하지 않았지만 상감백자 고족배도 소수 확인된다.
조선시대 고족배가 술잔 또는 찻잔으로 사용되었음을 회화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왕실이나 지방의 의례에서 의례기로도 활용되었음을 가마터 발굴이나 유적 출토품을 통해 알 수 있다.
도‧토기로 제작된 고족배는 고구려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의 남부 백제‧신라‧가야 지역을 중심으로 제작된 특징이 있으며, 각 지역의 특색에 맞은 다양한 고족배가 제작되어 한반도의 독특한 기종으로 자리 잡았다. 자기로 제작된 고족배는 고려 후기인 13세기 후반 원나라에서 유입된 기종으로 당시 원 문화의 전래를 알려주는 하나의 요소로 파악되며, 조선시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