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목 ()

목차
국악
물품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에서 일본에 전한 악기.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에서 일본에 전한 악기.
내용

『일본후기(日本後紀)』에 의하면 고구려 악사(樂師)와 백제 악사는 횡적(橫笛)·군후(ꜭ篌)·막목(莫目)·무(舞)의 4인이고, 신라 악사는 금(琴)과 무의 2인이었다고 한다.

그 형체가 어떠한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고, 그에 관한 여러 학설이 있다.

이혜구(李惠求)는 오현(五絃 : 琵琶)·지(篪)·향피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하였다가 뒤에 고구려나 백제의 관악기 중 하나일 것이라고 수정하였다. 이 학설에 의하면 지나 향피리 중 하나에 해당한다.

반면, 일본의 다나베(田邊尙雄)는 향피리라고 하였다. 그는 중앙아시아의 고대피리였던 마무(マム), 즉 종적(縱笛)의 일종인 도피피리(桃皮蓽篥)가 오래 전 한국을 통하여 일본에 전하여졌다고 하면서, 한국에서는 당피리에 대하여 향피리로 부르던 이 악기는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91) 중기에 새로운 아악관현제(雅樂管絃制)가 정해질 때, 당악(唐樂)이든 고려악이든 모두 당피리로 통일되었다고 보았다.

이 두 설에 의하면 막목이 고대 한국의 관악기의 일종이라는 것 이외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참고문헌

『일본후기(日本後紀)』
「일본에 전하여진 백제악」(이혜구,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고구려악과 서역악」(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집필자
한만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