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계집 ()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조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조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18년(숙종 44) 금릉군수 김무(金楙)가 저자의 후손 조세붕(曺世鵬)과 함께 초판을 간행하고 그 판각을 직지사(直指寺)에다 두었다. 그 뒤 화재로 인해 그 판각은 불타 없어지고 1928년 후손 조경승(曺璟承)·조병태(曺秉台)·조세우(曺世雨) 등이 『경연일기(經筵日記)』·『사화록(士禍錄)』 등에서 발췌한 것을 합해 다시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호(鄭澔)·권상하(權尙夏)·김영한(金寗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유(金楺)·김무·김재로(金在魯), 그리고 저자의 후손 조술(曺述)·조임(曺霖)·조경승·조병태·조세영(曺世永)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0권 5책. 목활자본. 창녕조씨재경친목회(昌寧曺氏在京親睦會)에 있다.

내용

권1에 연보, 권2∼4에 시 353수, 권5에 시 26수, 서(書) 1편, 서(序) 5편, 기(記) 10편, 권6에 묘지명 1편, 묘표 2편, 소(疏)·전(箋) 각 1편, 잡저 3편, 권7에 계(啓)·의(議) 각 수 편, 권8∼10에 부록으로 사화실기(史禍實記)·행록(行錄)·호당록(湖堂錄)·잡지(雜識)·제문·묘지명·묘표·행장·시장(諡狀)·신도비명·송계서원봉안문(松溪書院奉安文)·경렴서원상량문(景濂書院上梁文)·경렴서원봉안문·청시소(請諡疏)·시연운(諡筵韻)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저자가 1498년(연산군 4) 성절사(聖節使)로 중국을 오고가면서 지은 것과 국내에서 읊은 시로 구분되어 있다. 국내에서의 시는 저자의 자형(姉兄)이자 스승인 김종직(金宗直)과 창화한 것이 비교적 많다. 서(序)에는 1481년(성종 12) 왕명으로 두시(杜詩)를 언해(諺解)한 뒤 그 내력을 적은 두시서(杜詩序)가 있다.

기에는 1477년 성종이 집현전 대신 예문관을 설치하고 이어 문신들의 독서 장소로 용산(龍山)에 위치한 공해(公廨)를 독서당(讀書堂)으로 개조한 뒤 그 내력을 적으라는 명을 받고 쓴 독서당기(讀書堂記)가 있다. 또한, 1483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죽자 인수대비(仁粹大妃)와 인혜대비(仁惠大妃)가 그 유지를 받들어 죽은 왕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해인사를 중창했다는 내용의 해인사중창기(海印寺重創記)를 작성했다.

계와 의는 1479년 4월에서 1493년 10월까지의 사이에 경연(經筵)에서 논의했던 일들을 적은 것이다. 사화실기에는 성종의 명에 의해 김종직의 시문을 찬집하게 된 것이 저자가 2차에 걸쳐 참혹한 화를 당하게 된 동기가 되었음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그밖에 김굉필(金宏弼)·홍귀달(洪貴達)·김일손(金馹孫)·이재(李縡)·송시열(宋時烈)·윤염(尹琰), 그리고 이정보(李鼎輔) 이하 27명의 저자에 대한 각종 기록들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