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나리조 (메나리)

목차
국악
개념
경상도 · 강원도 · 함경도 지방의 민요와 무가에 사용되는 악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도 · 강원도 · 함경도 지방의 민요와 무가에 사용되는 악조.
내용

「쾌지나칭칭」·「정자소리」·「얼싸영」 등 경상도민요, 「정선아리랑」·「강원도아리랑」·「한오백년」·「미나리」(일명 메나리)·「아라성」 등 강원도민요, 「신고산타령」·「궁초댕기」 등 함경도민요, 청보무가·제마수무가·어청보무가와 같은 경상도와 강원도 동해지방의 무가, 상애짖기무가와 같은 함경도지방 무가 선율의 음계이다.

구성음은, 서양음계에 의하면, 미·솔·라·도·레이고, 종지음은 미 또는 라이다. 주요음은 미·라·도 삼음이며 완전4도+단3도로 되어 있고, 미에서 떠는 목을 레에서 도로 흘러내는 목을 쓰는 경우가 많다.

육자배기토리와 같은 계면조를 주로 쓰는 판소리에서도 아주 드물게 쓰인다. 「심청가」의 ‘뺑덕에미 길소리하는 대목’과 ‘상여(喪輿) 소리 대목’ 같은 곳에 사용되는데, 이럴 때에는 음악이 특이하기 때문에 ‘경상도 메나리조로 소리한다.’고 아니리를 한다.

메나리조라는 용어는 신재효(申在孝)의 판소리 사설에도 나온다.

참고문헌

『메나리조』(이보형, 『한국음악연구』2, 한국국악학회,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