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판목 ( )

목차
관련 정보
명심보감 판본
명심보감 판본
출판
유물
국가유산
1869년(고종 6)에 새긴 『명심보감』의 판목.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명심보감판본(明心寶鑑板本)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간본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5년 05월 12일 지정)
소재지
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2길 26 (본리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69년(고종 6)에 새긴 『명심보감』의 판목.
내용

31판. 1995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명심보감』은 고려 충렬왕 때 민부상서(民部尙書) ·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지낸 추적(秋適)이 편찬한 책으로, 주로 국학제생(國學諸生)에게 심성수양(心性修養)의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었으나, 상재(上梓)된 뒤로 각 가정에서 자녀교육용 교재로 널리 쓰여 왔으며, 현재도 널리 읽히고 있다.

중국 선철(先哲)의 가언격훈(嘉言格訓)을 부류별로 수록하였는데, 당시 불교가 국교로 성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불설(佛說)에 관해서는 일언반구 채취(採取)하지 않고 사문진흥(斯文振興)에만 치중하였다.

편재형식(編載形式)은 선철의 발언자나 인용서를 어두(語頭)에 명시한 것과 오직 가언만을 기술한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이 책판은 모두 31매(62丁)로 서(序) 10매, 범례(凡例) 2매, 본문 14매, 발(跋) 5매이다. 문화재(현, 국가유산) 지정 당시에는 6매(12丁) 반(1丁)이 없었다. 결판 부분은 9∼12, 15∼19, 21∼24정이며, 5∼6정 중 13자결(字缺)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인흥서원(仁興書院)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