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진언 ()

목차
국악
작품
범패(梵唄) 중 짓소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범패(梵唄) 중 짓소리.
내용

영산재(靈山齋)를 올릴 때 망자(亡者)를 위한 관욕(灌浴), 즉 혼백을 목욕시키고 옷을 입히는 의식을 행할 때 관욕게(灌浴偈)에 이어 부른다. 노랫말은 “옴 바다모 사니사 아모까 아레 훔”이다.

이 때 망자에게 입히는 옷은 종이를 접어서 만든 조그마한 것으로, 관욕편을 진행하는 중도에 불로 태워 제단 앞에 놓은 물그릇에 그 재를 떨어뜨림으로써 망자에게 옷이 도달한 것으로 생각한다. 범패승들이 짓소리로 부르는 동안 일단의 승려들이 제단 앞에 앉아서 손으로 여러가지 형태를 만드는 증사(證賜)를 한다.

목욕진언 때는 양손의 무명지와 소지를 안으로 깍지껴서 손바닥 안으로 넣되 오른쪽이 왼쪽을 누르게 하고, 두 장지는 펴서 끝을 맞대고 식지로는 장지의 등을, 모지로는 장지 가운데 마디를 누른다.

노랫말 중 ‘옴’은 보례성(普禮聲)으로 길게, ‘사니사’는 보례시방성(普禮十方聲)으로 길게 부른다. 반면 ‘바다모’와 ‘아레 훔’은 짧게 부른다.

참고문헌

『석문의범』하(下)(안진호, 법륜사, 1961)
「동음집에 관한 연구」(한만영, 『한국음악연구』 5, 한국국악학회,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