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우자수심결언해 ()

목차
관련 정보
목우자수심결언해 중 권수면
목우자수심결언해 중 권수면
언어·문자
문헌
조선전기 승려 신미가 고려의 승려 지눌의 『수심결』을 풀이한 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승려 신미가 고려의 승려 지눌의 『수심결』을 풀이한 언해서.
내용

목우자(牧牛子)는 지눌의 호이다.

『수심결』은 지눌이 세속화된 불교이념의 말폐적(末弊的) 현상에 대해서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대립적인 입장을 지양하고 인간의 참다운 모습을 밝히고자 엮은 책이다.

동궁의 편당(便堂)인 비현각(丕顯閣)에서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가 언해하여 1467년(세조 13)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이 책은 1500년(연산군 6) 경상도 합천 봉서사(鳳栖寺)에서 중간되었는데 그 판목(版木)이 남아 있어 근래에 쇄출되기도 하였다. 일사문고본과 봉서사본은 『사법어(四法語)』와 합철되어 있다.

언해는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경언해의 특징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한자음은 동국정운식한자음(東國正韻式漢字音)이고 방점(傍點), ‘·, ㆁ, ㆆ, ㅿ, ㅸ’자가 쓰였다. ‘·’와 ‘ㅿ’의 쓰임은 혼란됨이 없다. ‘ㆁ’은 ‘이ᅌᅦ’, ‘○ᄌᆞ’ 등과 같이 초성과 종성에 모두 쓰였다. ‘ㅸ’은 ‘수ᄫᅵ, 가ᄇᆡ야ᄫᅵ, 사오나ᄫᅵ, 어려ᄫᅵ, 어즈러ᄫᅵ, 조ᅀᆞᄅᆞᄫᅵ’와 같이 부사파생접미사 ‘-이’ 앞에서만 쓰였다. ‘ㆆ’은 ‘求ᄒᆞᇙ사ᄅᆞᆷ’에서와 같이 관형형어미 ‘ㄹ’과 병서(並書)된 것이 하나 발견된다. 병서 가운데 합용병서는 흔히 쓰이고 있으나 각자병서는 ‘ㅆ’만이 쓰였는데 ‘定일ᄊᆡ∼져글ᄉᆡ’, ‘말ᄊᆞᆷ∼말ᄉᆞᆷ’과 같이 불규칙하게 쓰였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의 일사문고(一簑文庫)와 일본의 도요문고(東洋文庫)에 소장되어 있으며, 일사문고본의 영인본이 1973년아세아문화사에서 출판되었다.

참고문헌

「중세어(中世語)의 한글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 연구(硏究)」(안병희, 『규장각』3, 1979)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남풍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