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봉혁 ()

유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수재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화실(華實)
수재(守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3년(고종 10)
사망 연도
1935년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전라남도 나주시
정의
일제강점기 때, 『수재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화실(華實). 호는 수재(守齋). 아버지는 박병록(朴炳祿), 어머니는 김해김씨(金海金氏) 김석윤(金錫允)의 딸이며, 전라남도 나주(羅州)의 송정리(松亭里)에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송병화(宋炳華)의 문인으로 심성(心性)에 관하여 연구 끝에 형(形)·기(氣)·신(神)·이(理)의 4글자를 표방하고 그것을 인체에 비유하여 “사람의 육체는 형(形)이고, 그 육체가 굴신(屈伸)하는 것은 기(氣)이며, 굴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신(神)이고, 그 굴신을 공중(恭重)하게 해야 하는 것은 이(理)이다. 따라서 형·기를 주로 하는 학문은 속학(俗學)이고, 신을 주장하는 학문은 이단(異端)이며, 이를 주장하는 것이 오도(吾道)”라고 주장하였다. 1918년 고종(高宗)이 승하하자 북천(北天)을 바라보고 통곡한 다음 문 밖 출입을 금했다.

일찍이 학문 강마를 위하여 지은 자락정(自樂亭)에서 시(詩)와 예(禮)를 강하며 많은 후생을 길러내는 것을 유일한 낙으로 삼았다. 저서로는 『수재유고(守齋遺稿)』 3책이 있다.

참고문헌

『간재집(艮齋集)』
『난곡집(蘭谷集)』
『송사문집(松沙文集)』
『수재유고(守齋遺稿)』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