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5종 8점. 종류는 『난중일기(亂中日記)』 · 『진법(陣法)』 · 「광국공신계회도(匡國功臣契會圖)」(1591), 흉배(胸背), 『광국원종공신록권』(1591, 23.5㎝×35㎝, 1책), 『선무원종공신녹권』(1603, 23.5㎝×35㎝, 1책) 등이다.
『난중일기』는 정경달이 임진왜란 초기에 참전한 내용과 명군접반사(明軍接伴使) 때의 일기로서 일기 하권 1책과 연기(年記) 1책이다. 원래 2책이었으나 1598∼1602년까지만 남아 있고, 이를 1815년 다산 정약용이 산정해 문집인 『반곡집』에 수록되었다. 이 일기는 임진왜란 초기의 육전 상황과 대명외교의 내용을 알려주고 있어 가치가 있다.
『진법』은 필사본으로 채색의 진도(陣圖)가 첨부되어 있다. 군령 · 군율 · 진법이 도해와 함께 있어서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군의 전략 · 전술지식을 살피는데 도움이 된다.
「광국공신계회도」는 견본(絹本) 채색도로 1591년(선조 24) 수충공성광국공신(輸忠貢城匡國功臣)을 녹훈할 때의 그림이다. 상단 방면에 어전(御殿) 건물과 참여 인물도가 있고, 하단에는 윤근수(尹根壽) · 황정욱 · 윤두수(尹斗壽) · 정경달 등 공신 14인의 명단이 적혀 있다. 흉배는 정경달의 유품으로 학 흉배 2장이다.
반계사는 1714년(숙종 40)에 창건해 정인걸(丁仁桀), 그리고 임영입 등 여섯 분을 배향한 사우이다. 정경달은 창원부사와 선산부사를 지냈고 문장이 뛰어났다 한다. 임진왜란 때에는 이순신의 종사관으로 활약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