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8.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얼굴이나 몸이 지나치게 가늘고 옷주름 표현이 도식적이며, 연화좌 밑에 방형 대좌가 있는 등 특징적인 양식을 갖춘 반가사유상이다.
얼굴은 길고 미소가 없는 근엄한 표정이다. 머리 위는 편편하게 표현되었고 그 위에는 머리카락이 높은 상투 형식으로 매어져 있다. 원래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이 있었던 모양이나, 지금은 다만 장식이 붙었던 자리인 머리 앞부분과 양옆에 구멍이 패어져 있을 뿐이다. 뒷머리는 양쪽으로 갈라져서 두 귀밑으로 늘어졌고, 두광(頭光)을 꽂았던 꼭지가 아직도 남아 있다.
불신(佛身)과 양팔은 가는 원통형으로 상반신은 나형(裸形)이다. 두 어깨와 양팔에 걸쳐 천의(天衣)가 표현되었다. 천의의 왼쪽 끝은 팔목 부분에서, 오른쪽은 팔꿈치 부분에서 감겨 내려와 있다. 목의 둘레에는 2중으로 된 구슬 목걸이[瓔珞]가 둘러 있다. 이 목걸이는 가슴 앞으로 내려와 다리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된다. 이어서 무릎 뒤로 돌려지며, 등 뒤에서는 조그만 꽃 장식을 중심으로 교차된다.
허리에는 상의(裳衣: 치마)를 입고 있다. 불신에는 주름이 거의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양다리 밑에는 몇 줄의 가로 주름이 있다. 그 밑으로는 여러 개의 세로 주름이 Ω자형으로 접혀서 앉아 있는 의자의 앞뒷면을 전부 덮고 있다. 주름의 모습은 단순하면서도 매우 도식적으로 처리되어 사실적 느낌은 적으나, 정돈된 느낌을 준다.
대좌는 방형 대좌 위에 팔각형의 받침을 놓고 그 위에 연화좌가 놓여 있다. 불상에 비하여 크지만 안정감을 준다. 연화좌는 8엽중판(八葉重瓣)의 복련좌(覆蓮座)이다. 방형 대좌의 각 면에는 두 개씩의 마름모꼴 안상(眼象)이 뚫려 있다. 이러한 대좌는 우리나라의 금동불상에서는 드문 편이나, 일본의 초기 금동불상에서는 많이 보이는 예이다. 조각 수법은 선과 면의 구분이 분명하고 잘 다듬어져 세련된 기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표현이 간략하고 도식화되었다. 중국의 동위(東魏) 및 북제시대(北齊時代)의 영향을 받은 일반적인 삼국시대의 반가사유상들과는 다른 양식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2중의 영락 장식과 가운데가 솟아오른 연꽃의 형식 등이 삼국시대 후기 불상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조성 연대는 7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