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천군 ()

배천군읍지
배천군읍지
인문지리
지명
북한 황해남도의 동남쪽 끝에서 예성강의 하류에 접해 있는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황해남도의 동남쪽 끝에서 예성강의 하류에 접해 있는 군.
개설

배천군의 동쪽으로는 예성강 건너 황해북도 금천군과 개풍군, 서쪽으로는 연안군, 북쪽으로는 봉천군, 남쪽으로는 한강과 예성강을 사이에 두고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와 마주하고 있다. 동경 126°07′∼126°24′, 북위 37°50′∼38°05′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475.1㎢, 인구는 15만 9,825명(2008년 기준)이다.

명칭 유래

조선 초기에는 백주(白州)로 불렸다. 배천의 ‘배’자는 백주의 ‘백’자를 옮겨 쓰면서 ‘ㄱ’이 빠진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천(川)은 조선시대에 ‘주(州)’로 끝나는 지명 가운데 일부가 성(城), 산(山), 천(川) 등으로 변경되었는데, 이에 따라 ‘주’가 ‘천’으로 변경되었다. ‘백’은 이 지방에 은이 많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는데, 광물자원이 많아 은산(銀山)이라고 불렸다.

자연환경

군의 중부에는 토미산(兎尾山, 250m), 치악산(雉岳山, 360m)이, 북부에는 황의산(黃衣山, 479m), 광석산(鑛石山, 296m)이, 동부에는 대산(大山, 175m)이, 남부에는 어라산(御羅山, 221m)이, 서부에는 룡각산(龍角山, 366m)이 솟아 있다. 군 전체면적의 90% 이상이 해발고도 200m이하의 구릉지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중부와 남부의 대부분은 연백평야에 속하며, 남쪽의 바닷가에는 넓은 간석지가 형성되어 있다.

하천으로는 예성강을 비롯하여 48개의 크고 작은 강과 하천이 흐른다. 예성강의 지류인 한교천(漢橋川)과 나진포천(羅津浦川)이 관개수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한교천의 상류에는 호국저수지(護國貯水池)가 있고 나진포천 상류의 례의저수지(禮儀貯水池)와 벽란저수지(碧瀾貯水池)를 비롯한 15개의 저수지가 있다.

온난한 해양성기후의 특징을 나타내며, 연평균기온은 10.8℃, 1월 평균기온은 –4.7℃, 8월 평균기온 25℃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242.8㎜이다.

산림면적은 군 전체면적의 28.5%를 차지하며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이 분포한다. 배천군은 식물분포상 북부와 남부의 중간지대이다. 주요 수종으로는 삼엽송, 참나무, 굴참나무, 잎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소나무 등이다. 전체 삼림면적에서 소나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28%를 넘을 정도로, 소나무는 배천군의 대표적인 수종이다.

지질은 하부원생대 황해층군, 상부원생대 상원계 및 중부고생대 임진계(금천계), 하부원생대 벽성암군, 중부고생대 평강암군 및 중생대 단천암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반암은 편마암․결정편암․화강암 등이며, 토양은 갈색산림토․충적토이다. 배천지방은 지질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금광상과 은광상이 많이 분포한다. 주요 지하자원으로는 금․은․납․아연․철․동․중석․녹주석․타이타늄 등 금속광물과 흑연․규석․돌로마이트․석회석․이탄 등의 비금속광물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조선시대에 배천군으로 부르다가, 1915년에 연안군과 통합되어 연백군이 되었다. 1945년에 38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뉘었다가 한국전쟁 이후 북한에 편입되면서 황해도 연백군(延白郡)과 남연백군(南延白郡)이 되었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시 연백군의 운산면․화성면․금산면과 남연백군의 은천면․해월면․유곡면․석산면․도촌면․온정면 전지역과 호동면의 5개 리, 봉북면의 1개 리를 병합하여 배천군을 신설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가 황해남․북도로 나뉘면서 황해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1980년에 봉량리와 석산리 일부를 통합하여 봉량(鳳兩)로동자구를 신설하였다.

배천군의 행정구역은 1읍(배천읍), 1구(봉량로동자구), 26리(강호리, 석산리, 도대리. 정촌리, 창포리, 화산리, 오봉리, 일곡리, 대아리, 화양리, 홍현리, 신월리, 수복리, 수원리, 금성리, 행정리, 추정리, 방현리, 금곡리, 유천리, 운산리, 금산리, 문산리, 룡동리, 봉화리, 역구도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배천읍이다.

현황

배천군의 경제는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그리고 농산업으로 이루어진다. 공업 총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중앙공업이 38%이고, 지방공업이 62%이다. 배천군은 금속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므로, 중앙공업에서는 채굴업의 비중이 매우 크다. 지방공업으로는 채굴․식료․일용품․방직․건재․기계․화학․제지․제약․도자기 등의 공업이 활발하다. 공장들은 주로 배천읍과 봉량로동자구에 있다.

배천군은 북한에서 논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군 가운데 하나이다. 간석지를 개간하고 섬이었던 역구도[본래는 역귀도(逆歸島)인데 와전되어 역구도라 불림]를 육지와 연결시켜 논으로 만드는 한편 관개시설을 활용하여 많은 밭을 논으로 바꾸었다. 중부와 남부 지역의 향정리․봉화리․역구도리․신월리 등지는 논의 비중이 90%를 넘는다. 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은 북부에 자리한 물길리․일곡리․석산리 등지이다. 주요 곡물은 벼․옥수수․콩이다.

과일은 배․사과․복숭아가 많이 재배되며, 그밖에 감․대추․살구 등도 생산된다. 최근 들어 야산과 구릉지를 개간하여 과수원의 면적이 증가하였다. 축산업에서는 소․돼지․오리․양 등이 많이 사육되는데, 배천군은 황해남도에서 소 사육두수가 가장 많다.

교통망으로는 철도․도로․수상교통이 발달하였다. 은빛〜해주 간을 운행하는 배천선 열차가 통과하고, 은빛역․배천역․홍현역․신월역․온성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해주〜개성 간 1급도로가 통과하며, 군내의 모든 리를 연결하는 3급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벽란도와 전포나루 사이에 해방전에는 철교가 있었으나, 지금은 자동차도로로 이용된다.

교육기관으로는 배천광업전문학교 및 배천농업전문학교를 비롯한 31개의 중학교와 31개의 소학교, 7개의 분교가 있다. 문화시설에는 배천군문화회관을 비롯하여 36개의 문화회관과 경기장이 있다. 의료시설로는 배천군인민병원, 산업병원 2개소 등 36개의 병원과, 요양소 5개소, 위생방역소 등이 있다.

배천읍에 있는 배천온천은 천연기념물 제15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염소가 많은 나트룸 온천으로 피부병 치료에 특효가 있다고 한다. 금성리에 있는 연안온천(延安溫泉)은 고혈압․신경통․부인병․피부병․소화기병에 효험이 있어, 이곳에는 연안온천요양소를 비롯한 여러 요양소가 있다. 룡동리에 있는 룡동리고인돌은 고조선시대의 유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보존급 제215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2009 북한개요』(통일연구원, 2009)
『2008년 인구조사』(조선중앙통계국, 2009)
『조선향토대백과』8(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북한정보총람』(평화문제연구소, 200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