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례 ()

목차
국악
작품
불교음악인 범패(梵唄) 중에서 대표적인 짓소리의 곡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음악인 범패(梵唄) 중에서 대표적인 짓소리의 곡명.
내용

사설은 ‘보례시방상주불(普禮十方常住佛)’이며 보례성(普禮聲)·십자성(十字聲)·무상존성(無上尊聲) 등의 선율로 부른다.

일종의 범패악보라고 할 수 있는 『동음집(同音集)』에 있는 「보례」의 사설은 현행과 달리 ‘보례시방무상존(普禮十方無上尊)’으로 되어 있는데, 음악상으로 현행과 같다.

「보례」의 음악 구성상 특징은 ‘보례’와 ‘시방’의 가사 사이에 허덜품이 들어 있는데, 이것을 ‘보례허덜품’이라고 하며, 「보례」 이외의 짓소리에 자주 활용되는 선율이다.

「보례」는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영산재(靈山齋) 등 규모가 큰 재에서 빠짐없이 불리고 있으며, 특히 새벽녘의 고사단(告祀壇)을 할 때 반드시 사용된다.

참고문헌

『불교음악연구』(한만영,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