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동승탑 ( )

목차
관련 정보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측면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부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장흥 보림사 동 승탑(長興 寶林寺 東 僧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부도.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6m. 이 부도는 보림사 동쪽 숲속에 있는 여러 부도 중의 하나로, 그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부도의 형식은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기본을 따랐으며 지대석(地臺石)도 8각으로 매우 넓다.

하대석(下臺石)은 반구형(半球形)에 가까운데 매우 평평하며 큼직한 8엽의 복련(覆蓮)이 덮여 있고, 모서리의 연판(蓮瓣)에 귀꽃이 있다. 복련 밑에는 높직한 면을 돌리고 8각의 면마다 안상(眼象)을 1구씩 조각하였다. 이 안상의 끝머리 좌우에서 안으로 뻗은 두 개씩의 뿔은 매우 날카로워 일반적인 형태와는 다른 것이 특징이다.

중대석(中臺石)은 가늘고 낮은 8각 돌기둥으로 표면에는 조식(彫飾)이 없다. 상대석(上臺石)은 하대석과 같이 반구형에 가까운데 귀꽃이 없을 뿐 큼직한 8엽의 앙련이 돌려져 있다. 밑에는 낮은 3단의 받침이 있고 윗면에는 높은 2단의 탑신 받침이 있다.

탑신 역시 8각의 석주형인데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의 표시는 없고 한 면에 문호형(門戶形)과 자물쇠형이 얕게 새겨져 있다. 옥개석(屋蓋石)은 밑의 다른 부재들에 비하여 좁고 낮은 편으로 아랫면에는 탑신과 접하는 부분에 3단의 받침이 있고 추녀 밑으로 넓은 낙수홈이 패여 있다.

추녀는 수평으로 평박하고 옥개석 윗면에는 여덟 줄의 굵고 높은 우동(隅棟 : 탑 옥개석의 귀마루)이 조식되었다. 상륜부(相輪部)의 옥개 꼭대기에는 간석(竿石)이 놓였고, 그 위에 추녀의 모퉁이가 약간 위를 향한 보개(寶蓋)가 놓였는데 우동 끝에 귀꽃이 표현되었다.

보개 위에는 보륜(寶輪)이 있고 바깥쪽으로 굽은 이중연판 위에 보주(寶珠)가 얹혀 있다. 이 부도는 조각기법이 세련되었으나 밋밋하고 가냘퍼 입체감이 결여되었고 조형에 있어서도 중대석이 작고 좁아 불안한 감을 준다.

또한 각 부재의 너비도 좁아져서 더욱 이러한 느낌이 드는데, 이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부도형식을 이어받았으면서도 고려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고려시대 부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6 보물 4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