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금평 패총 ( )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집터와 토기류 · 철기류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집터와 토기류 · 철기류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개설

1992년목포∼순천간 고속화도로 공사과정에서 발견되어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되었다. 조사된 유구는 5기의 주거지가 있다. 이 주거지가 폐기된 후 그 위에 조개더미가 형성되어 있다.

내용

주거지는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의 주거지로 나뉜다.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는 지름 4m 내외 크기의 원형 바닥 중앙에 타원형 함몰부와 2개의 기둥구멍이 있다. 원삼국시대의 주거지는 원형 혹은 타원형으로서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보다 약간 더 크다.

원형주거지 1기는 움이 없이 주거지 외곽을 따라 기둥구멍이 약 1.5m 간격으로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지상가옥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지 바닥에서 출토된 유물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이들 주거지가 폐기되고 난 다음 그 위에 버려진 조개더미 속에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조개더미 속에서 출토된 유물은 토기·철기·골각기·석기 등 다양하다. 중요한 유물로는 시루·국자형토기·소형토기·쇠도끼쇠낚시바늘·쇠화살촉·복골·뼈화살촉·흙구슬·돌칼·돌끌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자연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사슴·멧돼지·개 등의 포유류와 상어·복어·감성돔 등의 어류, 굴·꼬막·피조개·재첩·피뿔고둥·비단고둥 등의 조개껍질이 있다. 이와 같은 유물들은 해남 군곡리 패총에서 조사된 유물들과 상통하는 것들로서 1∼3세기대에 남해안지역에서 생계의 상당부분을 해양자원에 의존하는 집단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유물 중 복골은 사슴과 멧돼지의 어깨뼈를 이용한 것으로 중국 동북부와 일본 등지에서 출토된 것과 동일한 유형이다. 이것은 이 사회가 청동기시대의 샤머니즘 성격이 강한 제정일치단계의 사회에서 벗어나서 신권정치단계의 사회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보성금평패총(寶城金坪貝塚)』(임영진·조진선·서현주, 전남대학교박물관, 1997)
집필자
임영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