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침새

목차
국악
개념
판소리 · 산조 · 농악과 같이 리듬의 변화가 다양한 음악에 쓰이는 리듬적인 변주기교를 가리키는 국악용어. 완자걸이.
이칭
이칭
완자걸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판소리 · 산조 · 농악과 같이 리듬의 변화가 다양한 음악에 쓰이는 리듬적인 변주기교를 가리키는 국악용어. 완자걸이.
내용

사설의 문구나 음악의 악구의 머리가 장단의 머리에 놓이지 않고 장단의 가운데 놓인다든가, 말의 머리나 리듬소(素)의 머리가 장단 박(拍)의 날박[副拍]에 놓이는 여러 가지 리듬 기교를 말한다. 부침새가 쓰이지 않는 본래의 소박한 리듬은 대마디 대장단 또는 대장단 대마치, 대머리 대장단이라 한다.

즉, 문구나 음악의 악구의 머리가 장단의 머리에 놓여 있다든가, 말의 머리나 리듬소의 머리가 장단박의 들박[主拍]에 놓이는 것을 말한다. 대마디 대장단으로 된 음악은 리듬이 단순하여 정체된 느낌을 주지만, 부침새를 쓰게 되면 리듬이 다양하게 변화하여 생동감 있는 느낌을 준다.

음악에서 부침새를 쓰는 까닭은 사설의 자수(字數)가 장단에 맞지 않기 때문에 장단에 맞추다보니 생기는 경우도 있고, 음악의 리듬이 단순하게 짜여져 있던 것을 생동감 있는 리듬으로 짜는 데서 생기기도 한다. 여러 가지 부침새를 잘 부려서 음악적으로 리듬 기교가 잘된 대목을 부침새가 좋다 하여 좋은 연주로 보고, 음악적으로 자연스러운 여러 가지 부침새를 부리는 것을 자연부침이라 하여 좋게 여긴다.

음악적으로 자연스럽지 못한 부침새는 쌩자붙임 또는 억지붙임이라 하여 좋지 않게 여기고 있다. 부침새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음악은 아니므로 역대 판소리 명창들 모두 부침새를 많이 부렸던 것은 아니고, 조선말 철종 때 백경순(白慶順), 고종 때 정정렬(丁貞烈)과 같은 명창들이 부침새를 많이 부렸다고 한다. 반면에 고종 때 송만갑(宋萬甲)·이동백(李東伯)과 같은 명창들은 부침새를 매우 적게 부렸다고 한다.

종류에는 리듬 변주형태에 따라 엇부침·잉어걸이·완자걸이·교대죽 등이 있고, 그 밖에 엮음·뻗음·도섭 등도 그 일종으로 볼 수 있다. ① 엇부침:노랫말 한 행이나 선율선이 앞장단의 꼬리와 뒷장단의 머리에 붙어 있는 형태로, 앞장단의 중간에서 시작해서 뒷장단 중간에서 끝난다. ② 잉어걸이:들박을 노랫말이 매우 작은 시가(時價)로 밟고 나오는 형태이다.

③ 완자걸이:노랫말이 들박을 앞뒤로 비끼어 붙는 것이 서로 얽혀서 일어나는 형태이다. ④ 교대죽:한 행의 노랫말의 중간이 뚝 떼어져 앞뒤의 공간을 뛰어넘어 느리게 또는 빠르게 연주된 뒤 나머지 노랫말을 촘촘히 부르거나, 길고 짧은 박자가 변하여 노랫말을 촘촘히 부르는 형태이다. ⑤ 엮음:노랫말을 촘촘히 부르는 형태이다.

⑥ 뻗음:긴 음이 계속되며 노랫말이 띄엄띄엄 붙는 형태이다. ⑦ 도섭:짧은 음이 계속되고 노랫말이 촘촘히 붙는 것과 뻗음이 엇갈리고 노랫말이 앞뒤 박에 맞지 않게 붙는 형태이다.

참고문헌

『창악대강』(박헌봉, 국악예술학교 출판부, 1966)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社 출판부, 1941)
「판소리 붙임새에 나타난 리듬론」(이보형, 『장사훈박사회갑기념동양음악논총』, 한국국악학회,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