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정측면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불탑사에 있는 고려시대 현무암으로 건조된 5층 불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濟州 佛塔寺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3년 11월 19일 지정)
소재지
제주 제주시 원당로16길 41 (삼양일동) / (지번)제주 제주시 삼양1동 696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불탑사에 있는 고려시대 현무암으로 건조된 5층 불탑.
개설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m. 오랫동안 쓰러져 있었던 것을 원래의 자리인 현재의 위치에 6·25 이후 복원하였다. 현재 석탑의 북쪽에 법당 자리가 남아 있는데 석탑을 복원한 뒤 초가집 법당을 지었다가 서쪽의 경내로 옮겨 오늘날의 법당을 중심으로 새로운 도량을 이룩하였다고 한다. 그러므로 본래는 남향사찰로 석탑도 남쪽이 정면이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기단부부터 상륜 부재(部材)에 이르기까지 모든 석재가 현무암인데, 이것은 이곳 제주도 특유의 상황이라 하겠다. 단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를 형성하고 정상에 상륜을 장식한 일반형석탑이다.

1매석으로 조성한 지대석 상면에는 낮은 1단의 굄을 각출하여 기단을 받치고 있다. 기단 면석에는 뒷면을 제외한 3면에 같은 크기와 형식의 안상(眼象)을 새기고 귀꽃문을 장식하였다.

1매석으로 이루어진 갑석(甲石)은 두툼한데 하면에는 부연(副椽: 탑의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없고 상면에 넓직한 굄을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고 있다.

탑신부는 각 층의 탑신석과 옥개석을 1석씩으로 조성하여 차례로 올려놓았는데 각 층의 탑신석은 우주(隅柱: 모서리기둥)가 없다. 다만 남쪽 한 면에 정사각형의 감실을 개설해 놓아 주목되는데, 그 윤곽은 두툼할 뿐 별다른 장식 문양이 없다.

각 층의 옥개석은 낙수면이 평박하며 각 면의 합각선이 도드라져 있다. 그리고 네 귀퉁이의 전각(轉角)에 반전이 뚜렷하여 각 부재는 투박스러우나 전체적으로는 경쾌한 면을 보이고 있다.

5층 이상의 상륜 부재는 별개의 석재를 올려놓은 것인데 정상의 부재는 다른 부재이다. 현재 석탑 바로 앞에 배례석(拜禮石)이 놓여 있으나 근년에 새로이 만든 것이다.

이 석탑은 기단부의 구조나 안상과 귀꽃문의 양식과 수법, 초층탑신의 감실(龕室)과 탑신부 각 층의 옥개석 형태로 보아 건립연대는 고려 후기로 추정된다. 한편, 현무암으로 건조된 석탑이므로 석재가 특이할 뿐만 아니라 제주도 유일의 석탑으로 석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주목된다.

참고문헌

『元堂寺址 : 불탑사(옛 원당사지) 5층석탑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시, 2007)
『불탑사 5층석탑(옛 원당사지)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간략보고서』(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2005)
『佛塔寺 : 5층석탑 실측조사 보고서』(제주시 金星綜合建築士事務所, 濟州市, 1998)
「濟州 佛塔寺 五層石塔을 찾아서」(金禧庚, 『美術史學硏究』 228·229, 2001)
「고려석탑의 연구」(황수영, 『고고미술』 175·176, 1987. 12)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