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찬요 ()

목차
관련 정보
사서찬요 / 이돈우 서문
사서찬요 / 이돈우 서문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배상열이 사서의 주요 장구에 대한 학자들의 해석을 모아 1882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배상열이 사서의 주요 장구에 대한 학자들의 해석을 모아 1882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2권 2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에 그의 손자 약주(約周)가 『대학』과 『중용』의 두 편만을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은 『대학』으로, 이돈우(李敦禹)의 서가 있고, 편자의 생몰기가 있으며, 인용선유성씨서목(引用先儒姓氏書目)·대학도(大學圖)·대학연의지도(大學衍義之圖)·소학대학상위종시(小學大學相爲終始)·대학총론·장구서(章句序)·독법(讀法)·장구대전으로 되어 있다.

권2는 『중용』으로, 중용도·중용분절변의(中庸分節辨議)·용학상위표리(庸學相爲表裏)·중용총론·장구서·독법·장구대전(章句大全) 등이 있으며, 끝에 권연하(權璉夏)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여러 선대 학자들의 견해차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경문(經文)을 해석한 글은 두 자를 내려쓰고, 주희(朱熹)의 장구(章句)를 해석한 글은 앞에 ‘장구’라는 표제를, 소주(小註)를 해석한 글은 ‘소주’라는 표제를 붙였다. 그리고 편자의 글은 스승에게 질정을 받은 것만 끝에 수록하였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