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중촌리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산청 중촌리 고분군 전경
산청 중촌리 고분군 전경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에 있는 삼국시대 가야의 널무덤 ·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에 있는 삼국시대 가야의 널무덤 ·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1982년부산여자대학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규모는 확인되지 못한 상태이며, 확인된 고분은 분포지역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지역에서 166기에 이르고 있다.

내용

1차 조사에서 발굴한 고분은 제3호분, 제21호분, 제50호분의 3기이며, 이 밖에 도굴에 의해 연도(羨道)가 개방되어 있던 제1호분의 연도 입구를 정리해 실측하였다.

제1호분의 내부구조는 연도가 남벽의 중앙에 달린 남북을 장축(長軸)으로 한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이다. 석실은 장벽(長壁) 366∼383㎝, 단벽(短壁) 187㎝, 높이 285㎝, 연도 길이 320㎝, 연도 너비 78∼119㎝, 연도 높이 198㎝이다.

남북벽(단벽)은 수직에 가깝게 쌓았으며, 동서벽(장벽)은 위로 올라가면서 안으로 기울게 쌓아 4매의 큰 판석(板石)으로 천장을 얹었다. 석실의 바닥에는 납작한 판석들이 깔렸던 흔적이 있었다.

석실의 내부는 완전히 도굴되어 복원이 불가능한 토기편들이 출토되었을 뿐 이렇다 할 유물이 없었다. 그러나 연도의 입구를 정리하다가 고배(高杯) 1점, 파수부배(把手附杯) 1점, 금동제세환이식(金銅製細環耳飾) 1점이 발견되었다.

제3호분은 한 봉토 속에서 연도가 남쪽 단벽의 서쪽으로 치우친 남북장축의 횡혈식석실을 중앙에 두고 북쪽과 서쪽, 그리고 연도 앞에는 토광묘(土壙墓)가, 동쪽에는 석관묘(石棺墓)가 각각 1기씩 배장(陪葬)되어 있었다. 중앙의 석실은 장벽(동서벽) 380∼426㎝, 단벽(남북벽) 227㎝, 높이 195㎝, 연도 길이 230㎝, 연도 너비 62∼74㎝이다.

제3호분의 주실(主室)인 석실의 내부는 완전히 도굴당했으나, 주변의 토광과 석관은 도굴을 면했다. 북쪽 토광묘에서는 은장봉황병두대도(銀粧鳳凰柄頭大刀)·대호(大壺)·단경호(短頸壺) 및 기대(器臺), 장경호(長頸壺)·무개고배(無蓋高杯)·철부(鐵斧)·철모(鐵矛)·안교(鞍橋) 등이 출토되었다. 동쪽 석관묘에서는 장경호·유개고배(有蓋高杯)가, 서쪽 토광묘에서는 무개고배·유개고배·장경호·파수배(把手杯)·철부가, 남쪽 토광묘에서는 무개고배·회청색연질 단경호(灰靑色軟質短頸壺)·유대단경파수부호(有臺短頸把手附壺)·파수배가 출토되었다.

제21호분은 수혈식석곽분으로 주곽(主廓)의 크기는 동서 장벽 495㎝, 남북 단벽 67㎝, 깊이 72㎝로 할석을 쌓아 벽을 만든 후 10장의 장대석(長大石)으로 천장을 덮었다. 남북장축인 주곽의 동쪽 모퉁이로부터 동남쪽으로 1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판석으로 짠 길이 1m, 너비 50㎝ 미만의 파괴된 부곽이 발견되었다.

주곽은 완전히 도굴되었으나 부곽에서 단경호와 유개고배가 출토되었고, 봉토층에서 무개고배·장경호·소배(小杯) 등이 발견되었다.

제50호분도 수혈식석곽분으로 크기는 장벽 490㎝, 단벽 73㎝, 깊이 90∼100㎝이다. 주곽의 동쪽장벽에 거의 붙어서 할석으로 구성한 파괴된 부곽이 있었는데 크기는 길이 1m 미만이었다.

출토유물은 주곽은 여러 차례 도굴을 당해 잔류품(殘留品)으로 유리구슬 30여 점과 철부 및 복원이 어려운 토기조각들이 수습되었다. 부곽에서는 단경호만 4점이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석실들은 대부분 도굴되었지만 부곽에서 출토된 유물의 성격으로 미뤄볼 때, 이 고분군은 대개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초반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남강상류(南江上流)의 선사문화(先史文化)」(안춘배, 『백산학보(白山學報)』 23,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