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태 ()

목차
국악
작품
범패(梵唄)의 짓소리.
이칭
이칭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범패(梵唄)의 짓소리.
내용

불경을 외우는 법문(法文) 혹은 다라니(陀羅尼)를 외우는 송주(誦呪)를 하기 전에 부른다 하여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이라고도 한다.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아 보통 의식 중에는 노래를 촘촘히 쓸어버리는 것이 상례였다. 노랫말은 범어(梵語)인 진언(眞言)으로 ‘옴 아라남 아라다’이다.

1968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자료조사 중 강화도 문수사(文殊寺)의 장벽응(張碧應)의 기억에 의한 노래로 녹음, 채록되어 살릴 수가 있었다.

선율은 짓소리 「삼마하(三摩訶)」와 동일하고, 가창 때 불교무용인 나비춤 · 바라춤 · 법고춤이 중심이 되는 작법(作法)과 요잡(繞匝 : 부처를 중심으로 하고 그 둘레를 돌아다니는 일)이 수반된다.

참고문헌

『불교음악연구』(한만영,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