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덕리 마을제당 ( 마을)

목차
관련 정보
통영 삼덕리 마을제당 측면
통영 삼덕리 마을제당 측면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에 있는 장군봉의 산신을 모시는 신당. 마을신당.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에 있는 장군봉의 산신을 모시는 신당. 마을신당. 국가민속문화재.
개설

1968년 11월 23일에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덕리 마을제당은 장군당(將軍堂)을 비롯하여 동제의 제장(祭場)이 되는 여러 문화재 및 당산(堂山)으로 그 가운데 장군당에 있는 장군신화(將軍神畵) 1폭, 대목마(大木馬) 1개, 원항마을 입구의 벅수(돌장승) 2기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이 밖에도 장군봉에 장군당과 나란히 서 있는 천제당(天祭堂), 대청마을과 관유마을 입구에 한 쌍씩 서있는 장승(통영지역에서는 벅수라고 함), 원항마을에 있는 당산으로 섬겨지는 검포구나무 10여 그루 등이 있다. 장군당은 상당(上堂) 또는 산제당(山祭堂)이라고도 부르며, 장군봉의 산신인 장군신을 모신다.

내용

제당의 창건 연대는 알 수 없고 다만 초가지붕이었던 것을 1925년경 기와로 고쳤다고 전한다. 우진각식 기와지붕에 가로 세로 모두 263㎝, 기둥 높이 170㎝ 규모이고 4면이 송판으로 되어 있다. 안에 있는 장군신화는 갑주로 무장한 장군상으로, 현재 있는 그림은 1935년경에 제작되었다고 하며, 가로 85㎝, 세로 120㎝ 크기이다.

이 앞에는 목마 한 쌍이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목마는 용마라고도 불리었다. 원래의 용마는 놋쇠로 만든 것이었으나 100여 년 전에 도난을 당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큰 목마는 원래의 철마를 도둑맞은 후 1940년경에 새로 만들어진 것이고, 작은 것은 근처에 살던 일본인이 기증한 것이다.

큰 것은 길이 155㎝에 높이 93㎝, 작은 것은 길이 68㎝에 높이 65㎝로 소박한 형태의 조각이다. 말의 상을 신앙 대상으로 동제당에 모시는 사례는 전국에 걸쳐 가끔 볼 수 있는데, 이는 재난방지를 위한 신앙 대상으로 여겨진다.

천제당은 칠성당이라고도 부르며, 장군당보다 조금 작은 규모로 함석 맞배지붕에 시멘트벽으로 되어 있다. 대청마을과 원항마을의 입구에 각각 한 쌍씩 서 있는 돌장승은 70여 년 정도 된 것이라고 하며 높이는 1m 미만이다. 한편, 관유마을의 입구에 서있는 장승은 나무로 만든 것인데, 높이는 120㎝ 정도이다.

이 마을의 동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새벽 1시 전에 시작한다. 우선 천제당에서 천제를 지내고, 장군당에서 장군제(산제라고도 함)와 용마제를 지낸 다음, 내려오다가 산기슭 바위에서 잡신제를 지낸다.

각 가정에서는 연시제(年始祭: 2대를 함께 1월 1일 아침에 지내는 제사) 조상제를 지내고, 그다음 장승 앞에 집집마다 밥 한 상씩을 차려놓고 가장들이 모여 벅수제를 지낸다. 그리고 원항마을 당산에서 당산제를 지내며, 그 뒤 동사(洞舍) 앞마당에서 용왕에게 어로의 무사고를 기원하는 별신(벨손)을 올린 다음 풍물놀이를 한다.

이 제사에는 유교식 격식이 없으며, 순수하게 농어촌 다운 유구한 민간전승적 신앙 대상물들이 다양하게 갖추어져 있다. 여기에 공동체의식에 바탕을 둔 신앙이 풍부하게 얽혀 드러나고 있다.

참고문헌

『민속자료조사보고서』11(장주근, 문화재관리국, 1968)
집필자
장주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