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막사 삼층석탑 ( )

목차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사에 있는 고려시대 일반형 석조 불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삼막사삼층석탑(三幕寺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3년 09월 19일 지정)
소재지
경기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석수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사에 있는 고려시대 일반형 석조 불탑.
내용

높이 2.55m. 1983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재 삼막사의 선실(禪室) 앞 축대 위에 건립되어 있는데 법당과 떨어져 있어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인지는 알 수 없다.

석탑의 구성은 기단부 위에 3층의 탑신부를 형성하고 정상에 상륜부를 장식한 일반형이다. 정사각형의 높직한 지대석 위에 2층기단을 구성하였는데 4매석으로 짜여진 하층기단 면석에는 양쪽 우주(隅柱)와 가운데 1탱주(撐柱)가 정연하게 새겨졌다.

갑석은 두툼한데 2매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면이 경사지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도 4매석으로 짜여졌으며 각 면에 양쪽 우주와 가운데 1탱주가 정연하게 새겨졌다. 갑석은 넓직한데 하면에 부연(副椽)이 생략되었다.

탑신부는 각 층의 탑신석과 옥개석이 각기 1석씩으로 조성되어 중첩되었는데 각 층의 탑신석에는 각 면에 양 우주가 정연하게 새겨졌다. 옥개석은 모두 하면에 받침이 3단씩이며, 낙수면은 약간의 급경사를 이루었으므로 각 면의 합각머리가 두툼해지고 있다.

네 귀퉁이의 전각에 반전이 있어서 다소 둔중한 느낌을 감해주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석 하나가 남아 있으며 현재의 노반석 위의 장식들은 모두 근년에 새로이 만들어 얹은 것이다. 이 석탑은 기단부의 구성과 탑신부 각 부재의 조성양식과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중엽의 건립으로 추정된다.

사찰에서 전하는 바에 의하면, 1232년(고종 19) 12월 16일 승려 김윤후(金允侯)가 몽고장수 살리타[撒禮塔]를 화살로 쓰러뜨린 기념으로 이 탑을 세웠다고 하나 전설로 전해올 뿐이다. 현재의 석탑은 1979년에 보수한 것이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총람 : 도지정편』(김영운, 경기도, 2005)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