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사 ()

목차
건축
유적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곽시를 모신 사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곽시를 모신 사당.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곽시(郭詩)를 향사(享祀)하고 있다. 곽시는 본관이 선산(善山)으로 조선 중종 때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를 역임하였고, 학문이 뛰어나 『과제론삼편(科製論三篇)』을 저술하였다.

본래 영정을 봉안한 영당이었으나 조선 정조 때 사당으로 바뀌었다. 1871년(고종 8) 훼철되었던 것을 1889년 지방유림에서 재건하였고, 1967년 모현계(慕賢契)를 조직하여 삼청유허비(三靑遺墟碑)를 세웠다. 매년 음력 3월 첫 정일(丁日)에 제향하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