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조선시대에 왕 이하 문무관리들이 예복에 착용하던 치마 형태의 옷.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왕 이하 문무관리들이 예복에 착용하던 치마 형태의 옷.
내용

상고시대의 상은 군(裙)의 원형이었다. ≪설문≫에 보면 상은 하군(下裙)이라 하고 군(裙)은 하상(下裳)이라 하여 그 뜻을 거의 구별하지 않고 있다. ≪석명 釋名≫에서는 상은 군의 원형이고 군은 상보다 군폭을 더해서 좀더 미화시킨 것이라 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상은 허리에서부터 치맛단에 이르기까지 잔주름이 잡히고 길이가 땅에 닿을 정도로 긴 것이다. 그리고 치맛단에는 일종의 장식선이 붙어 있다. 삼국시대까지는 여자의 전용물이었으나 통일신라가 당나라 복식을 받아들여 착용하면서는 남자들도 상의하상(上衣下裳)인 옷을 입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왕 이하 문무관리들이 예복 착용 시 착용하게 되었다. 이때의 상은 7폭으로 전3폭·후4폭이었는데 따로 떨어져 있으며, 자폭(刺幅)이라 하여 후폭 양방(兩旁)을 각기 1촌쯤 잇고 있다. 또, 상의 허리 사이에는 무수한 주름이 있으며, 석(緆), 즉 가는 베로 가에 선[純]을 둘렀다.

상 옆에 두른 선은 벽(綼)이라 하였고, 상 밑에 두른 선은 문벽(文綼)이라 하였다. 석의 너비는 각 1촌 반이었으며 표리 합하여 3촌이었다. ≪국조오례의서례 國朝五禮儀序例≫ 제복도설(祭服圖說)에서는 훈색 증(繒)으로 만들며 전3폭·후4폭의 7폭에 매폭 양가장자리를 각 1촌씩 꿰매어 이를 삭폭(削幅)이라 하였다.

허리에는 무수한 주름[襞積]이 있었으며, 상 옆에는 순이 있어 벽이라 하고 아래에도 순이 있어 석이라 하였다. 벽과 석의 너비는 각 1촌 반으로서 겉과 안을 합하여 3촌이었다. 전폭에는 조(藻)·분미(粉米)·보(黼)·불(黻)을 수놓았다. 한말 고종의 12장복에서는 명나라 황제 곤복의 상을 본떠서 훈상(纁裳)에 6장문을 수놓았다.

이는 화(火)·종이(宗彝)·조·미(米)·보·불로서 이를 4행으로 나누어 화·종이·조를 2행으로 하고, 미·보·불을 2행으로 하여 수놓았다. 전후폭이 연속되어 휘장과 같이 보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