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

목차
관련 정보
남색궁초홑치마
남색궁초홑치마
의생활
물품
저고리와 함께 입는 여자의 하의(下衣).
이칭
이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저고리와 함께 입는 여자의 하의(下衣).
내용

옛 문헌에는 상(裳) 또는 군(裙)으로 표현되어왔는데,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빈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만록 閑中漫錄≫에 ‘문단(文緞)치마’가 있어, 이를 치마라 일컬어왔음을 알게 된다. 또한, ≪훈몽자회≫에서 보면, 호(鋒)를 ‘ᄒᆡᆼᄌᆞ쵸마호’, 상을 ‘츄마샹’이라 하고 있다.

또 ≪내훈 內訓≫에도 ‘치마’로 나와, 치마는 ‘ㅊ, ㅁ’ 두 음을 가진 말임을 알 수 있다. ㅊ은 차다[佩], ㅁ은 말다[卷]를 나타내어 곧 차고 마는 그 형태를 표현한 것이라 하겠으며, 이와 비슷한 한자 표현은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나오는 선군(旋裙)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치마는 치마[赤亇]로 표음되기도 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길고 잔주름이 치마단까지 잡혀 있으며 또 단에는 선(襈)이 있다. 이때의 저고리는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긴 것이었다. 고려시대에 내려오면 ≪고려도경≫ 부인조(婦人條)에 보이는바, 상하가 다 황상(黃裳)을 입었다. 또 천사조(賤使條)에는 8폭의 선군을 몇 겹 둘러 겨드랑이에 높이 치켜 입었다.

부귀한 집 처첩은 7·8필을 겹쳐 입었다 하였는데, 이는 조선시대의 무지기에서 보듯 치마 아래를 푸하게 하기 위하여 그때에도 이와 비슷한 것이 있지 않았나 생각되나 자세히 알 수 없다. 이때만 하여도 고려 전기이니 만큼 아직도 저고리는 좀 길었을 것이고, 후기 몽고복식의 영향을 받아 저고리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 치마 형태에 그다지 큰 변화가 있었다고는 보이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평상복으로는 짧은 치마·긴 치마, 예복용으로 스란(膝襴)치마·대란(大襴)치마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짧은 치마는 서민이나 천민이 입었고, 긴 치마는 반인(班人) 계급에서 착용하였는데, 때로는 이 긴 치마를 예식용으로도 사용하였다.

짧은 치마나 긴 치마나 홑 또는 겹이 있었고, 긴 치마에는 출토유물에서 얇게 솜을 둔 것도 볼 수 있다. 스란치마는 스란단을 한 단, 대란치마는 두 단을 치마단에 더한 것으로 겹이었다. 이에는 무지기를 3·5·7층 겹쳐 입어 허리 아래를 푸하게 버티었고, 특히 왕가(王家)에서는 무지기 밑에 대츔치마를 입어 치마 아래도 버티었다.

중기 이후로는 저고리 길이가 짧아질대로 짧아진 때였으니, 여자 한복의 하후상박(下厚上薄)의 특징을 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그 곡선이 더없이 아름다운 가운데 치마는 유동적인 것이어서 그 곡선미를 더욱 두드러지게 해주고 있는 것이다. 개화기에 들어서는 여자도 자유로운 외출과 사회활동이 허용됨으로써 짧은 통치마가 생겨났다.

이 통치마는 최활란(崔活蘭)이 1907년 동경 유학에서 귀국할 때 입은 데서 유행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통치마나 짧은 치마가 활동하는 여성의 사회복이 되자 짧아져가기만 하던 저고리 길이도 이와 알맞을 정도의 길이가 되었다. 치마 허리끈이 이때에 와서는 어깨허리로 하게 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피복 재료의 다양성과 함께 복식미의 발전으로 짧은 치마류는 양장으로 대신되고, 오히려 긴 치마는 한복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때마다 환영받는 옷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증보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9)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우리나라여자치마의 시대적고찰」(함옥상, 『과학논집』 1,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7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