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현, 시도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2.9m. 치악산 남대봉 중턱인 해발 1,100m지대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와 같이 높은 지대에 있는 사찰로서는 상원사가 대표적이다.
상원사는 신라 때 무착선사(無着禪師)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 일대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은혜 갚은 꿩(혹은 까치)과 뱀의 이야기가 이 절에서 유래하였으며, 꿩(까치)이 상원사의 종을 울리게 하여 선사(선비)를 살렸다는 전설이 지금까지도 전한다.
상원사 창건에 대해서는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어 일반적으로 신라시대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사찰 경내에는 신라시대 조성의 유물 · 유적은 보이지 않고 고려시대의 석조물과 조선시대의 목비가 전해지고 있다. 석탑은 대웅전 앞에 쌍탑의 형식으로 2기가 건립되어 있는데 형태와 크기가 같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형성하고 정상에 상륜부를 장식한 일반형 석탑이다. 여러 개의 장대석으로 지대를 구축하고 하층기단 면석을 받고 있는데 하층기단 면석의 각 면에는 두 개의 우주와 중앙에 하나의 탱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었다. 하층기단 갑석은 4매석으로 결구되었으며 상면에 높직한 2단의 굄을 마련하여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은 8매석으로 조립하였으며 각 면에 두 개의 우주와 중앙에 하나의 탱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었다. 상층기단 갑석은 2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졌는데 밑면에는 낮은 부연이 각출되고 윗면에는 높직한 2단의 굄대를 마련하여 탑신부를 받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을 1석씩으로 조성하여 중적(重積)하였고 각 층의 탑신석에는 두 개의 우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었다. 옥개석의 받침은 모각되지 않아 주목되는데 이러한 예는 흔하지 않다. 낙수면이 평박하고 네 귀퉁이 전각에 반전이 뚜렷하여 둔중한 느낌은 면하고 있다. 옥개석 상면에는 1단의 굄을 마련하여 그 위층의 탑신석을 받고 있다.
상륜부는 오른쪽 석탑에는 보개석과 보주석이 남아 있는데 보개석에는 8각 전각마다 귀꽃문이 있고 보주에는 앙련문이 보인다. 왼쪽 석탑에는 노반석과 보개 및 보주석이 남아 있으나 표면 조각이 마멸되었다.
상원사지 석탑은 무너졌던 것을 1964년에 현재의 상태로 복원한 것인데 이때 탑 안에서 보살상과 인왕상, 금동불입상 2구 등 모두 4구의 금동불보살이 발견되어 이 석탑의 사리장엄구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대웅전에서 왼쪽 석탑을 보면 그 앞쪽으로 광배석 하나가 놓여 있다. 이 광배는 보주형으로 좌상의 광배였는데 불상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두광의 중심에 원좌가 있고 그 주변에 단엽의 연화문 8판이 돌려져 있으며 두 줄 선문(線文)의 둥근 두광 간지에는 인동문이 유려하게 장식되었다. 두광으로부터 광배 주연에 이르는 사이에 화염문이 가득히 조각되었는데 고려 초기의 화려한 광배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