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서산군의 관아로서 객관(客館) · 동헌 · 누정(樓亭)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문루(門樓)와 외동헌(外東軒)만이 남아 있다.
먼저 ‘西寧郡門(서령군문)’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문루를 살펴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인 익공계(翼工系) 2층 문루건물로 주춧돌을 돌기둥 모양으로 만들었다. 아래층은 가운데 기둥줄에 대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위층은 주위에 난간을 두르고 기둥과 창방(昌枋)이 만나는 부분에 파련(波蓮) 모양을 새긴 문양장식을 붙였다.
익공은 이익공식(二翼工式)이다. 한편, 외동헌은 공사를 처리하던 곳으로 정면에 ‘西寧館(서령관)’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정면 5칸, 측면 2칸인 익공계 단층건물로서 사면에 퇴(退) 반칸씩을 두었다.
동쪽 한칸에는 기둥 모양의 높은 주춧돌을 사용하고 있어 누마루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나머지 부분은 무사석(武砂石 : 네모 반듯한 돌로 층을 지어 쌓아올린 축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네모난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기둥을 세워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