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동시장 (서울 )

목차
관련 정보
경제
지명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과 청량리 사이 고산자로(古山子路) 부근에서 열리는 상설시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과 청량리 사이 고산자로(古山子路) 부근에서 열리는 상설시장.
개설

경동이라는 이름이 뜻하듯이, 본래 서울의 동쪽 경기도와 강원도의 농촌 주민들이 농산물, 특히 토산품이나 특산물을 내어다 팔면서 그것을 수집하고 산매하는 상인들이 모여들어 큰 노점시장을 형성시켰다.

형성 및 변천

시장의 중심은 옛 성동역 앞(현재 미도파 청량리점)이었는데 경춘선·경의선·경원선·중앙선 등의 철도가 중요한 교통로 구실을 하였다. 1960년 6월 4층 빌딩을 지어 공설시장으로 출발하였다. 당시 노점상들을 상가에 무료로 입주시켰으나 상인들은 건물 안으로 들어가기를 꺼렸다.

그것은 당시 상인들의 자본규모, 상품의 종류 및 특성과 함께 소비자의 구매행태가 재래시장의 그것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초기는 영세노점상인들이 시장의 주도권을 쥔 가운데 상거래가 이루어졌으며 도시화의 진전과 함께 급속히 성장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산업화의 영향으로 상업적 농업이 시작되면서 출하되는 산물이 지역성을 반영, 특종상품시장으로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고추·마늘·옥수수 등 밭작물을 중심으로 버섯·고사리·도라지 등의 산채류 및 밤·대추 등의 건과류가 동부산지로부터 모여들었다.

그리하여 1970년대는 양념류·제수용품(祭需用品)과 한약재(漢藥材)의 전국적인 전문시장으로 위치를 굳혔고, 그와 관계가 있는 건어물(乾魚物) 상가도 자리를 잡았다.

1983년부터는 인삼·수삼·꿀까지 취급하기 시작하여 경동시장 구관 2층을 중심으로 60여 개의 점포가 개설되었다. 인삼·꿀 점포는 그 뒤로 매년 증설되어 1987년 현재 약 140여 개의 점포가 개설되었다.

현황

1995년 현재 경동시장은 대지면적 8,058㎡, 건물연면적 2만 35㎡, 점포수 678개 등의 규모이고, 종사자수는 1,100명이다. 주된 상품은 산채류·인삼·건어물·기타 농수산물 및 생필품이고, 한약재상 역시 매우 번창하여 전문시장의 위치를 굳혀가고 있다.

제기2동의 한약상가는 400여 개의 한의원과 건재상들이 밀집해 있는 한약재의 집산지로, 전국 약재의 80%를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경동시장은 서울의 부심 청량리 인근에 자리잡은 전문재래시장으로, 서울은 물론 전국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도소매시장으로 성장하였다.

대표적인 특화상품이던 고추와 마늘의 경우, 가락동과 상계동에 대규모 농수산물유통센터가 개설되면서 도매기능이 위축되고 있다. 그러나 소매기능은 전래의 활기를 잃지 않고 성업하고 있다. 현재 급속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쪽은 오히려 인삼·꿀·한약재 및 민간약재의 전문상가쪽이다.

이제는 상설점포에 비하여 규모가 영세하고 세력이 떨어진 노점상의 경우, 그 수효의 부침이 매우 심하다. 평균치로 어림잡으면 상설점포의 수효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나, 매상고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떨어진다. 그들은 상설점포와 경쟁적 관계에 있다기보다 기능적 보완의 관계를 맺고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시장상인들은 공식 또는 비공식의 조직을 통하여 갈등을 해소하고 권익을 신장하는 데 노력하고 있는데, 동업자들끼리의 계(契)는 대표적인 예이다.

청량리역과 지하철 제기역이 관문구실을 하고 있고, 인근의 시외버스터미널 역시 경동시장의 상권유지에 큰 몫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서울육백년사』2·4(서울특별시, 1978·1981)
『한국관광자원총람』(한국관광공사, 1985)
『전국 도·소매업체총람』(대한서울상공회의소, 1995)
『서울의 문화유산 탐방기』(서울학연구소, 199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