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호수 ()

연행기
연행기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홍문관부교리, 대사성,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학자.
이칭
양직(養直)
시호
정헌(靖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6년(영조 12)
사망 연도
1799년(정조 23)
본관
대구(大邱)
주요 관직
홍문관부교리|대사성|예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홍문관부교리, 대사성,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학자.
개설

본관은 대구(大邱). 자는 양직(養直). 우참찬 서문유(徐文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판서 서종옥(徐宗玉)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명응(徐命膺)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정섭(李廷燮)의 딸이다. 큰 아버지 서명익(徐命翼)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6년(영조 32) 생원(生員)이 되고, 1764년 칠석제(七夕製)에 장원했으며 이어 다음 해 식년 문과에 다시 장원하였다. 곧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초임되었으나 언사(言事)로 남해에 유배되었다가 1766년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에 특채되어 벼슬을 시작하였다.

1770년에는 영의정 홍봉한(洪鳳漢)과 함께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도승지(都承旨)에 임명되어 왕의 측근이 되었다. 이 해에 진하 겸 사은부사(進賀兼謝恩副使)로 정사(正使) 이은(李溵), 서장관(書狀官) 오대익(吳大益)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대사성·대사헌 등 청관직(淸官職)을 거쳐 당대 문화사업의 핵심 기관이었던 규장각의 직제학이 되었다. 이후 규장각의 여러 편찬사업에 주도적 역할을 다하였다.

『어정송사전(御定宋史筌)』을 교열하고, 1781년에는 『규장총목(奎章總目)』 4권 3책을 책임 편찬했으며, 『국조보감(國朝寶鑑)』에서 봉모당(奉謨堂)에 봉안할 어제(御製: 왕이 지은 글)를 고출(考出: 자세히 살핌)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의 기초가 된 『어제춘저록(御製春邸錄)』의 간행을 주관하였다. 서호수는 규장각에 원임직제학(原任直提學)의 직함으로 간여하면서 이조·형조·병조·예조 등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남인(南人)으로 우의정의 자리에 있던 채제공(蔡濟恭)과 소론(少論)의 명문이었던 그의 집안과의 갈등으로 일시 휴직했다가 1790년(정조 14)에 다시 진하 겸 사은부사로 두 번째 청나라에 사행(使行)하였다.

이 사행은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팔순(八旬)을 기념하는 만수절(萬壽節)을 축하하는 것이었다. 이 때의 여행일기가 『연행기(燕行紀)』 4권 2책이다.

다음 해 관상감의 제조(提調)가 되어 인조 때 김육(金堉)이 주장한 바 있는 시헌력(時憲曆)의 사용을 위해 청나라에 가는 사신에게 이에 소용되는 의기(儀器)를 구입할 것을 주장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1795년 삼상(三相)의 후보에 올랐으나 이루지 못했고, 다시 1798년 우의정의 물망에 올랐으나 역시 좌절되었다.

끝내 삼상의 자리에는 오르지 못하고 이조판서에 그쳤지만, 정조 동궁시의 빈료(賓僚)로서 정조의 즉위에 공로를 세운 서명응의 아들로 가학(家學)을 계승, 북학파의 학자로 규장각의 각종 편찬사업에 중추적 역할을 다하였다.

더욱이 두 차례의 연행(燕行)을 통해 서적 수입 등 청문화의 도입이라는 정조의 내밀한 임무 부여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제2차 여행 때의 일기인 『연행기(燕行紀)』에 따르면, 『십삼경주소(十三經註疏)』·『주역절중(周易折中)』·『시서휘찬(詩書彙纂)』·『대청회전(大淸會典)』·『성경통지(盛京通志)』 등은 구매했으나 『황청해국방략(皇淸海國方略)』은 구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

둘째아들인 서유구(徐有榘)는 사촌 서철수(徐澈修)에게 출계(出繼)했으나 가학을 계승, 다음 시대 북학자로 활약하면서 많은 업적을 쌓았다.

시호는 문민(文敏)으로 “민첩하며 배우기를 좋아했으니 문(文)이요, 일에 대승하여 공이 있으니 민(敏)이라 하였다.” 그러나 뒤에 할아버지 서종옥과 같다 하여 정헌(靖憲)으로 개칭되었다. 묘지명은 아우인 서영수(徐詠修)가 짓고 아들 서유본(徐有本)이 추기(追記)하였다. 저서로 『연행기(燕行紀)』가 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