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빙고 ()

목차
관련 정보
창녕 영산 석빙고 / 내부
창녕 영산 석빙고 / 내부
건축
개념
얼음을 저장하기 위하여 만든 창고.
목차
정의
얼음을 저장하기 위하여 만든 창고.
내용

겨울에 얼음을 채취, 저장하였다가 여름에 사용하기 때문에 얼음이 녹지 않게 하기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록에 의하면 얼음을 채취하여 저장하는 일은 신라시대부터 있었으며, 이 일을 맡은 관직을 빙고전(氷庫典)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에 축조된 빙고는 현재 남아 있는 것이 없으며, 고려시대의 유구(遺構)도 발견, 조사된 바 없다.

조선시대에는 건국 초기부터 장빙제도(藏氷制度)가 있어 말기인 고종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빙고(氷庫)라는 직제를 두어 5품관(五品官)인 제조(提調) 이하의 많은 관원을 두어 관리하였다. 현존하는 유구를 중심으로 볼 때 빙고는 대개 성 밖의, 강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강에 얼어붙은 얼음을 채취하여 운반하기 쉬운 곳에 창고를 두었기 때문이다. 가령 동빙고(東氷庫)와 서빙고(西氷庫)는 서울의 한강 북쪽연안에 설치되었던 얼음창고이다. 그러나 이들은 석조가 아닌 목조로 된 빙고였기 때문에 내구성이 적어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빙고의 축조방법은 대개 일정하며, 규모 또한 대동소이하다. 보통 지하에 깊게 굴을 파고 안쪽벽을 석재로 쌓아올리고, 내부의 밑바닥은 장방형으로 경사지게 만들었다.

그리고 바닥에는 배수구를 설치하여 빙고 안의 녹은 물을 내보내고 있다. 천장은 잘 다듬은 돌로 짜아올린 홍예(虹霓: 무지개모양의 문)를 4, 5개씩 연결하여 궁륭형(穹窿形)을 이루었고, 그 사이마다 환기구멍을 마련하여 공기가 유통되게 하였다.

외부는 홍예천장 위로 흙을 덮고 잔디를 입혔는데, 경주석빙고의 경우 환기구멍에 벽체를 세우고 뚜껑을 덮어 빗물이나 직사광선이 들어갈 수 없게 하였다. 대체적으로 석빙고의 외부모습이 큼직한 무덤처럼 보이는 것은 봉토 위에 잔디를 입혔기 때문이다.

현재 석빙고에는 대부분 그 옆에 축조연기(築造緣記)를 새긴 석비(石碑)가 건립되어 있어 축조 연대 및 관계자를 알 수 있는데, 대개가 18세기초 영조대에 축조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주석빙고(보물, 1963년 지정)를 비롯하여 안동석빙고(보물, 1963년 지정)·창녕석빙고(보물, 1963년 지정)·청도석빙고(보물, 1963년 지정)·현풍석빙고(보물, 1980년 지정)·영산석빙고(보물, 2011년 지정) 등이 있다.

참고문헌

「대구석빙고비」(진홍섭, 『고고미술』12, 1961)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