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

목차
관련 정보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정측면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승려 대경대사 여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승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傳 楊平 菩提寺址 大鏡大師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산11-1번지 이화여자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승려 대경대사 여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승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7m. 신라 말, 고려 초에 활동하였던 대경대사 여엄(麗嚴, 862∼930)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승탑은 바닥돌은 없어졌지만, 단면 8각의 받침돌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린 전형적인 8각원당형(圓堂形)의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마치 연꽃으로 안상(眼象)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윗면부터 옆면 윗부분까지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옆면의 기둥에도 연꽃무늬가 조각되었으며, 안상 안에는 사자가 1마리씩 돋을새김되었다. 단면 8각의 가운데받침돌은 위아래 2단으로 이루어졌다. 옆면에는 두 날개를 활짝 펴고서 두 손을 합장한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迦陵頻伽)가 조각되었고, 윗단 가운데부분에는 앉은 채로 천의(天衣)를 날리며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주악천인상(奏樂天人像)이 돋을새김되었다. 윗받침돌은 밑면에 꽃잎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연꽃무늬 8개가 새겨져 있고, 옆면에도 연꽃무늬가 돋을새김되었는데, 8각의 모서리는 꽃다발 무늬의 기둥인 화속주(花束柱)로 장식되었다.

몸돌은 단면 8각인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각 면마다 좌우에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다. 앞면과 뒷면에는 문비(門扉)를 새겼으며, 나머지 면에는 신장상(神將像)을 돋을새김하였다. 지붕돌은 윗면인 낙수면에 기와를 덮은 기왓골과 추녀 마루가 표현되었고, 처마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달린 서까래와 기와가 조각되었다. 특히 추녀 밑면의 받침에는 꽃 무늬와 함께 주악비천상(奏樂飛天像)이 교대로 배치되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별다른 조각이 없지만, 4장의 꽃잎을 가진 겹꽃[複瓣]의 연꽃무늬를 찰주(擦柱) 구멍 주변에 장식하고서 상륜부(相輪部)를 받도록 하였다. 현재 머리장식인 상륜부는 대부분 없어지고 보주(寶珠) 하나만 놓여 있다.

참고문헌

『부도』(정영호, 대원사, 2003)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엄기표, 학연문화사, 2003)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인천·경기도의 전통사찰』전통사찰총서5(사찰문화연구원 편, 사찰문화연구원, 1995)
『한국의 미』15 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조선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