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끌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물품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목재 세부 가공용으로 제작된 간석기.
이칭
이칭
석착(石鑿)
물품
재질
용도
목재 가공
제작 시기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내용 요약

돌끌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목재 세부 가공용으로 제작된 간석기이다. 비교적 소형이며 몸통은 길이에 비해 폭이 좁고, 날은 직선적으로 처리된 외날이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모두 늦은 시기가 되면서 수량이 증가하는데, 특히 청동기시대의 경우 논농사 중심으로의 농경 방식 전환과 관련된 현상으로 추정된다.

목차
정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목재 세부 가공용으로 제작된 간석기.
내용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목재의 세부 가공용으로 제작된 간석기이다. 지금의 끌과 같이 나무에 구멍을 파거나 겉면을 깎고 다듬는 데 사용된다. 비교적 소형이며 몸통은 길이에 비해 폭이 좁다. 크기는 대다수가 길이 10㎝ 이하에 해당한다. 소형이기 때문에 직접 손으로 잡기보다는 자루에 끼워서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날은 직선적으로 처리된 외날로 역시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석기시대의 이른 시기부터 등장하지만 늦은 시기에 수량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히 이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석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 형태에 따라 좁고 긴 네모꼴과 비교적 네모꼴에 가까운 것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형태별 사용 방식이나 작업 대상물의 차이 등은 확인된 바 없다.

청동기시대의 돌끌에 대해서는 뒷면이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는 것에서 점차 직선적으로 변화한다는 주장이 제시되기도 하였는데, 분석 대상 유물이 소수에 불과하여 이를 일반적인 방향성으로 인정하기는 어렵다.

같이 사용되는 주2주1 등의 자귀류가 목재의 1차 가공용이라면, 돌끌과 대팻날도끼는 2차 세부 가공용으로 추정된다. 대팻날도끼에 비하여 돌끌의 출토량이 매우 적은 것을 볼 때, 목재의 일반적인 세부 가공은 대팻날도끼를 이용하고 특수한 소수의 작업에만 돌끌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청동기시대에도 신석기시대와 마찬가지로 늦은 시기가 되면서 돌끌의 사용량이 증가하는데, 이와 함께 전체 석기에서 목재 가공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상승한다. 목재 가공구들은 목제 농구의 제작에도 이용되며, 제작된 목제 농구는 주로 논농사에 사용된다.

따라서 돌끌을 포함한 목재 가공구의 증가 현상을 통해, 청동기시대의 농경 방식이 밭농사에서 논농사 중심으로 전환되었음을 짐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감은 주3와 같은 퇴적 주4류가 주로 이용된다.

참고문헌

논문

손준호, 「청동기시대 석기 조성비 비교」(『인문학연구』 117, 충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9)
하인수, 장은혜, 「신석기시대의 가공구」(『신석기시대 석기론』, 진인진, 2016)
下條信行, 「鑿形石斧について」(『考古學と地域文化』, 一山典還曆記念論集, 2009)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주석
주1

몸 중간에 턱지게 만든 자귀. 평안남도 및 황해도 지역의 청동기 시대 팽이 토기 유적에서 주로 나온다.    우리말샘

주2

머리 부분에 홈이 팬 자귀 모양의 석기. 이 홈에 직각으로 된 나무 자루를 대어 묶어서 썼다.    우리말샘

주3

변성 작용이 완전히 되고 미세한 알갱이들이 등립상(等粒狀)을 보이는 광물로 이루어진 변성암. 접촉 변성 작용에 의하여 생기며 편리(片理)를 나타내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4

수성암 또는 화성암이 땅 밑 깊은 곳에서 온도, 압력 따위의 영향이나 화학적 작용을 받아 변질하여 이루어진 암석.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