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정측면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전형적인 3층 석조 불탑. 석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襄陽 禪林院址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6년 09월 21일 지정)
소재지
강원 양양군 서면 황이리 42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터에 남아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전형적인 3층 석조 불탑이다. 196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1m로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린 전형적인 신라 석탑의 모습이다. 바닥은 여러 장의 크고 긴 돌을 결구하여 만들었다. 윗층 받침돌의 면석은 면마다 2장으로 총 8장의 널돌로 조립해 팔부중상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이 석탑은 각 부분의 조각이나 결구 수법으로 보아 9세기 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전형적인 3층 석조 불탑. 석탑.
내용

196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1m. 현재 선림원터에는 이 석탑을 비롯하여 1966년 보물로 지정된 양양 선림원지 석등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양양 선림원지 승탑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석탑은 사리장치를 훔쳐가려고 무너뜨린 다음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그 뒤 한 승려가 옮겨 세우기 위해서 해체하던 중에 받침돌 밑에서 납석제(蠟石製) 소탑(小塔)과 동탁(銅鐸) 등이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탑신부(塔身部) 1층 몸돌 윗면에는 사리공(舍利孔)이 있지만 많은 소탑을 봉안할 만한 공간은 아니므로, 소탑은 처음부터 받침 부분이나 그 밑에 넣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석탑은 법당터에서 남쪽으로 6.5m 쯤 떨어진 원래의 위치에 복원되어 있는데,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린 전형적인 신라 석탑의 모습이다.

바닥은 여러 장의 크고 긴 돌을 결구(結構)하여 만들었다. 그 위에는 여러 장의 널돌로 짜여진 1단의 높은 굄대가 놓였고, 다시 그 위에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面石)을 두었다.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은 여러 장의 크고 긴 돌로 이루어졌는데,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가지런하게 새겨져 있다. 아래층 받침돌의 덮개돌 역시 여러 장의 널돌로 결구하여 올렸는데, 윗면에는 둥글고 네모진 2단의 굄을 새겨 윗층 받침돌의 면석을 받치고 있다. 윗층 받침돌의 면석은 각 면마다 2장의 널돌로 조립하여 모두 8장으로 구성하였는데,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을 본떠 새긴 뒤, 기둥과 기둥 사이의 면마다 팔부중상(八部衆像)을 돋을새김하였다. 윗층 받침돌의 덮개돌은 4장의 널돌로 덮었는데, 아랫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마련되어 있고, 윗면 가운데 부분에는 네모난 2단의 굄을 두어 몸돌을 받고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각 층의 몸돌에는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다. 1층 몸돌의 윗면에는 2단의 사리공(舍利孔)이 있는데, 윗단의 네모난 사리공은 한 변의 길이가 19㎝이고, 깊이가 10㎝이며, 아랫단의 사리공은 깊이가 5㎝ 정도이다.

지붕돌 아랫면은 받침이 5단이고, 추녀 밑은 대체로 수평인데, 네 모서리의 전각(轉角)에는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남아 있다. 지붕돌 윗면의 낙수면은 평박(平薄)하며, 처마와 처마가 맞닿은 넓직한 전각에는 반전(反轉)이 있어 경쾌한 인상을 준다. 지붕돌 윗면에는 네모난 2단의 굄이 있어서 윗층의 몸돌을 받치고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전형적인 신라 석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다. 3층 지붕돌 윗면에는 지름 10.5㎝의 둥근 찰주공(擦柱孔)이 있고, 그 위에 복발 · 앙화 등의 머리장식을 받치는 노반(露盤) 1석과 함께 보륜(寶輪) · 보주(寶珠)를 하나의 돌에 조성한 원뿔 모양의 돌이 놓여 있다.

현재 석탑 앞에는 길고 네모난 모양의 배례석(拜禮石)이 하나 놓여 있는데, 윗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지만 옆면에는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이 석탑은 각 부분의 조각이나 결구 수법으로 보아 9세기 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신라석탑연구』(장충식, 일지사, 1987)
『문화재대관』보물 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6 탑파(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3)
『한국미술전집』6 석탑(황수영 편, 동화출판공사, 1974)
『한국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선림원지 발굴조사략보고」(문명대,『불교미술』10, 동국대학교박물관, 1991)
「양양 선림원지에 대하여」(정영호,『고고미술』71, 1966)
「선림원지 삼층석탑내 발견 소탑」(진홍섭,『미술자료』9, 국립박물관, 196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