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운사 참당암 석조 지장보살상 ( )

목차
관련 정보
고창 선운사 약사여래불상
고창 선운사 약사여래불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 참당암의 지장전에 안치되어 있는 조선 초기의 불상.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 참당암의 지장전에 안치되어 있는 조선 초기의 불상.
내용

높이 0.8m. 197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문화재 지정 명칭은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이다. 오른손에 보주(寶珠를 쥐고 있어 흔히 약사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머리에 두건을 쓴 전형적인 두건(頭巾) 지장보살상이다.

얼굴은 풍만하며 가는 눈초리와 작은 입, 반달형의 눈썹으로 딱딱한 표정을 지었다. 머리의 두건은 이마에서 관자놀이까지 두른 뒤 이마 부분에 긴 끈을 묶어 귀 뒤로 내린 형식이다. 양어깨 밑으로 길게 드리워진 머리띠 자락의 끝 부분은 3엽의 꽃무늬 형태로 마무리되었다. 목에 삼도(三道)를 새겼다. 목 아래의 목걸이는 가운데에 화형(花形)의 고리 장식을 달고 가슴 가운데로 세 가닥의 장식을 늘어뜨린 화려한 형식이다.

가사(袈裟)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오른쪽 소맷자락을 허리 아래에서 가사 자락 밑으로 여며 넣었다. 옷주름은 폭이 넓고 직선적인 평판 형태로 단순화되어 활력을 찾을 수 없다. 군의(裙衣)는 가슴까지 치켜 올라가 있으며, 복부에는 군의를 묶은 허리띠 매듭이 나비 리본 형태로 정교하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엄지와 둘째 손가락 사이에 보주를 쥐었으며 왼손은 손가락을 곧게 펴서 가부좌(跏趺坐)한 무릎 밑으로 내렸다. 가부좌한 하체에는 오른쪽 발목이 노출되어 있다.

머리띠로 묶어 내린 두건의 착용 방식과 세 줄의 영락(瓔珞 :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이 달린 목걸이, 왼쪽 어깨에서 내려오다가 팔꿈치 부근에서 삼각형 꼴로 접혀진 옷주름 표현 등에서 이 절의 도솔암에 안치된 지장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같은 계열의 지장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도솔암 지장보살상은 왼손에 보주가 아닌 법륜(法輪)을 쥐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굴곡이 적은 직선적인 신체, 크고 넓적한 얼굴, 직선적으로 가늘게 그어진 눈매와 딱딱한 표정, 평판적인 옷주름 표현 등에서 조성 시기는 조선 초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전북문화재대관(全北文化財大觀) -도지정편-』(전라북도, 1997)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