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유가 ()

목차
국악
작품
12곡이 전승되고 있는 서울의 긴 잡가 중의 한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2곡이 전승되고 있는 서울의 긴 잡가 중의 한 곡.
내용

산놀이를 주제로 한 「유산가(遊山歌)」와 대비되는 곡으로서 물놀이를 노래했다고 하여 「선유가」라고 이름 붙였으나 가사의 내용으로 볼 때 물놀이와 관련된 줄거리는 없다. 다만 노래의 후렴구에서 “배를 타고 놀러 가세.”라는 내용이 있어 「선유가」라고 한 것 같다.

「선유가」의 음악형식은 약간 복잡하다. 즉 두 가지의 선율형태를 가진 후렴구가 한가지 선율형태를 가진 메기는 소리 사이에 번갈아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 가세 지두덩 기어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라는 후렴구를 C라 하고, 또 다른 후렴구인 “동삼월 계삼월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이 돈 받소.”를 B라 하고, 메기는 소리에 해당하는 “앞집이며 뒷집이라 각위 각집 처자들로 장부 간장 다 녹인다.”라는 구절을 A라 한다면 「선유가」의 음악구조는 C/ABAB/ABAC/ABAC가 된다.

즉 「선유가」에서는 A형의 가락이 6번, B형의 가락이 4번, C형의 가락이 3번 나온다. 따라서 「선유가」의 음악형식은 큰 세마루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선유가」의 장단은 느린 도드리장단으로 A의 선율 4장단, B의 선율 6장단, C의 선율 8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음계는 경기소리의 특징인 5음 음계로서 특히 솔·도·미 3음이 두드러진다. 「선유가」의 사설은 다음과 같다.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 가세 지두덩 기어라 둥게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

앞집이며 뒷집이라 각위 각집 처자들로 장부 간장 다 녹인다.

동삼월 계삼월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이 돈 받소.

가던 임은 잊었는지 꿈에 한번 아니 보인다.

내 아니 잊었거든 젠들 설마 잊을소냐.

(후렴)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 가세 지두덩 기어라 둥게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

이별이야 이별이야 이별 이자(二字) 내인 사람 날과 백년 원수로다.

동삼월 계삼월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이 돈 받소.

살아 생전 생이별은 생초목에 불이 나니 불 꺼 줄 이 뉘 있읍나.(후렴)

나는 죽네 나는 죽네 임자로 하여 나는 죽네.

나 죽는 줄 알 양이면 불원천리 하련마는

동삼월 계삼월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이 돈 받소.

박랑사중(博浪沙中) 쓰고 남은 철퇴 천하 항우(項羽) 주어

깨치리라 깨치리라 이별 두 자 깨치리라.(후렴)

참고문헌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십이잡가』(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67)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잡가악보집』(한국국악학회,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