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씨부인 권선문 ( )

목차
관련 정보
설씨부인 권선문
설씨부인 권선문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문신 신말주의 부인 설씨가 1482년에 작성한 문서. 권선문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설씨부인 권선문(薛氏夫人 勸善文)
분류
기록유산/서간류/간독류/간독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1년 07월 15일 지정)
소재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국립전주박물관 (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신말주의 부인 설씨가 1482년에 작성한 문서. 권선문첩.
개설

필사본.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첩. 이 권선문첩은 설씨가 남편과 함께 전라도 순창에 낙향해 있을 때, 광덕산(廣德山)에 절을 세우기 위하여 1482년(성종 13)에 신도들에게 시주를 권선하는 글을 짓고 사찰의 설계도를 그려 돌려보게 한 것이다.

내용

이 문첩은 붉은 종이를 붙인 16폭의 절접(折摺)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14폭에는 권선문이 먹으로 쓰여 있고 나머지 2폭에는 사찰의 채색도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절접의 뒷면에는 설씨부인 후손들의 가전(家傳) 서찰과 권선문에 관한 글이 있고, 끝에는 ‘성화 18년(1482) 7월 일 정부인(貞夫人) 설(薛)’이라는 작성연대와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양쪽의 표장(表裝)은 채색 문양이 있는 비단천으로 장식하였다.

이 문첩은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쳤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훼손되었고, 또한 10번째의 절접은 5항 중 2항이 손상되어 다른 사람의 글씨로 되어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비교적 잘 보존되어 온 고문서이다.

조선 초기 사대부의 집안에서 불사에 관심을 보인 일면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국보』12 서예·전적(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집필자
이정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