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서당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성재서당
대구 성재서당
유적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채선견이 학문을 강론하던 서당.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성재서당(盛才書堂)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84년 07월 25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길 120 (미대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채선견이 학문을 강론하던 서당. 교육시설.
내용

1984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곳은 채선견(蔡先見)이 정자(亭子)를 짓고 만년에 학문을 강론(講論)하던 곳이다. 그 뒤 후손들이 선생의 높은 덕행을 널리 기리고자 새로 수축하고 그 이름을 성재서당이라 개칭하였다.

채선견은 채응린(蔡應麟)의 다섯째 아들로 지산(芝山)조호익(曺好益)과 한강(寒岡)정구(鄭逑) 양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617년에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였다. 그 후 서궁유폐사건(西宮幽閉事件)이 일어나자 마을 선배들과 함께 상소를 올려 잘못된 점을 지적하였다.

1624년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키자 발분창의(發憤倡義)하여 향병(鄕兵)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수집하였다. 1626년에는 희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퇴하고 귀향하여 이곳에 성재정(成才亭)을 짓고 선비들과 학문을 강론하면서 만년을 보냈다.

참고문헌

『지정문화재목록』(문화재관리국, 1997)
「문화재안내문안집-대구직할시·경상북도편(上)-」(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8, 199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