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화식이 거행되는 장소는 그리스 남쪽 펠로폰네소스 반도 엘리스지방의 피자티스에 있는 헤라신전이며, 채화된 횃불을 올림픽의 개최지로 옮긴 뒤 릴레이로 봉송하여 주경기장에 점화하게 된다.
이러한 의식은 고대 올림픽 때부터 비롯된 것으로, 인간만이 이용할 줄 아는 불은 성스러운 상징으로 떠받들어졌으며 제우스신에 의해 4년마다 한 번씩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 채화되는 것으로 전해져 왔다.
그러나 근대 올림픽이 처음 시작된 1896년부터 1924년 제8회 파리올림픽 때까지는 성화에 관계되는 의식이 없었다. 1928년 제9회 암스테르담올림픽에서 처음 성화로 올림픽경기장을 밝혔으나 성화대가 따로 마련되지 않은 채 횃불처럼 꽂혀 있었으며, 성대한 성화봉송식 같은 의식도 갖지 않았다.
1936년 제11회 베를린올림픽 때 처음으로 높은 성화대가 마련되었고, 그리스에서부터 베를린까지 3,000㎞의 거리를 많은 주자에 의해 성화를 봉송하는 의식이 실시되었다. 당시 베를린올림픽을 개최했던 독일은 히틀러의 통치를 받고 있었는데, 히틀러를 추종하는 나치스 참모본부에서 성화봉송과 성화대를 만드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성화대를 만든 것은 나치스의 절대 권력을 나타내기 위함이었고, 그리스로부터 인근 7개국을 거쳐 독일까지 성화를 봉송하도록 한 것은 제2차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펼쳐질 독일군의 공격 루트를 사전에 답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올림픽 성화는 그 뒤 평화의 상징으로 세계 인류의 마음을 밝혀주고 있으며, 1964년부터는 동계올림픽에서도 성화봉송을 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55년 제36회 전국체육대회 때부터 이상백(李相佰, 제2대 한국IOC위원)의 제의로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서 성화를 채화, 전국체전이 벌어지는 주경기장까지 봉송하는 제도가 마련되었다. 올림픽헌장 제63조에는 성화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올림픽성화를 경기장까지 운반하는 책임은 그 해 올림픽조직위원회에 있으며, 올림픽 성화의 봉송 여정 및 도착에 관련되는 식전은 관계 NOC(국가올림픽위원회) 주관으로 거행된다. 다만, 올림픽 프로토콜을 지켜야 하며 상업적 광고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의 특별한 허가가 없는 한 올림픽 성화는 1개여야 하며, 성화는 주경기장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장소에서 타올라야 한다. 가능하면 성화대를 경기장 밖에서도 볼 수 있도록 건설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