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기정진(奇正鎭)이 편집, 1908년 사손(嗣孫)인 원규(元圭)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말에 박동현(朴東賢)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11수, 서(書) 7편, 기(記) 1편, 제문 1편, 잡저 4편, 권2는 부록으로 녹(錄) 2편, 만시 2수, 제문 5편, 행장 1편, 묘표 1편 등으로 되어 있다.
서 중 「여안여해(與安汝諧)」 등은 『중용』·『가례』·『대학』에 대하여 논변한 것이고, 잡저 중 「예의예기(禮義禮器)」는 예를 그릇에 비유해서 인간이 생활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라고 강조하였다.
「만덕록(晩德錄)」은 그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이 제주도로 유배될 때 수행도중 영암의 만덕사(晩德寺)에서 『중용』과 『대학』에 대하여 질의, 강론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