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은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중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중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기정진(奇正鎭)이 편집, 1908년 사손(嗣孫)인 원규(元圭)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말에 박동현(朴東賢)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11수, 서(書) 7편, 기(記) 1편, 제문 1편, 잡저 4편, 권2는 부록으로 녹(錄) 2편, 만시 2수, 제문 5편, 행장 1편, 묘표 1편 등으로 되어 있다.

서 중 「여안여해(與安汝諧)」 등은 『중용』·『가례』·『대학』에 대하여 논변한 것이고, 잡저 중 「예의예기(禮義禮器)」는 예를 그릇에 비유해서 인간이 생활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라고 강조하였다.

「만덕록(晩德錄)」은 그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이 제주도로 유배될 때 수행도중 영암의 만덕사(晩德寺)에서 『중용』과 『대학』에 대하여 질의, 강론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