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록 ()

목차
국악
인물
조선후기 춘향가 중 더늠 「만첩청산」을 지은 판소리의 명창.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전라도 함열(咸悅) 웅포(熊浦)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춘향가 중 더늠 「만첩청산」을 지은 판소리의 명창.
내용

흥록(興綠)의 아우, 우룡(雨龍)의 아버지, 만갑(萬甲)의 할아버지이다. 정조 때 전라도 함열(咸悅) 웅포(熊浦)에서 태어나 운봉(雲峰) 비전리(碑殿里)에서 살았다.

형 흥록의 고수로 여러 해 동안 수행하다가 명창이 되고자 제주도에 가서 4, 5년 동안 소리를 연마하여 흥록과 겨룰만한 대명창이 되었다. 춘향가를 잘 하였고, 특히 춘향가에서 긴 사랑가 만첩청산(萬疊靑山)이 더늠(장기)으로 전해진다.

신재효(申在孝)는 그의 『광대가(廣大歌)』에서 아홉명의 명창 가운데 하나로 꼽았고, ‘창전벽해 걸릴 데가 없었으니 만리풍범(萬里風帆) 왕마힐(王摩詰)’이라 평하였다. 그의 소리제는 아들 우룡에게 전해져서 판소리 동편제(東便制)의 큰 인맥을 형성하였다. 중년 이후에는 구례에서 살았다.

참고문헌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